본문 바로가기

Money & Power165

[아고라펌]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이론으로 설명하는 노무현의 자살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003&articleId=2604867 . 들어가면서 ---------------------------------------------------------------------------------당신은 당신 국가의 최정상급 정치인이다. 당신은 평생동안 청렴함과 도덕성을 자부심으로 여기며 정치를 해왔다. 그러던 어느날 당신은 충격적인 소식을 듣게 된다. 당신의 정치적 지위를 본 수많은 정/재계 관계자들이 로비와 청탁을 시도했고, 당신의 배우자, 두 자녀, 당신의 형, 당신의 친구가 모두 부적절한 돈을 받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검찰은 이 사실을 파악하고 수사를 시작했으며, 끝내 당신의 주변인들이.. 2009. 5. 26.
[아고라펌] 검찰이 노무현을 사냥하는 5가지 방법 원본링크입니다. :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01&articleId=2291744참 징하다고 생각한다. 죄가 있다고 주장하는 검찰이나, 죄가 없다고 맞받아치는 노무현이나 참 징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주장하는 당사자는 억울할 것이다. 상대가 잘못했는데, 내가 잘못한 것은 없는데 왜 내가 비난을 받아야 하는가? 나는 대한민국을 위해서 혼신의 힘을 다해 일해온 죄밖에 없는데 어쩌다 이런 상황까지왔는가? 이런 생각은 양자 모두 할 수 있을 것이다. 노무현이나 검찰이나, 원치않게 외나무다리에서 만났고, 그들에게는 배틀로얄의 룰이 내려졌다. 개인적으로, 이 사건에 대해서 노무현이 승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적어도 1주일 전까지는.. 2009. 5. 26.
`힘 빠진` IPTV vs `힘 받는` 케이블TV 의욕적으로 시작한 IPTV이지만, 역시나 쉽지가 않군요. IPTV의 경쟁사는 Telco자신들이 아니라 바로 케이블사업자들입니다. 애초부터 우리나라의 유무선 PayTV 시장은 Telco들이 탐낼만큼 먹거리가 큰 사업영역이 아니었습니다. 그걸 TPS니 QPS니 하는 논리로 발을 담근거죠. 이 시점에서 가입자 증가세가 주춤한 것은 이제 마케팅비용이 소진된 상황에서는 당연한 것으로 보입니다. 1. IPTV가 CableTV에 비해서 서비스 자체가 '혁신적'인 가요? 답은 아닙니다. 단지 컨텐츠 전달 통로가 다른것 뿐인데, 소비자들은 컨텐츠를 구매하지 그 전달통로를 중요하게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2. 그렇다면 IPTV가 Cable사업자들에 비해서 컨텐츠 수급능력이 뛰어날까요? 역시 답은 부정적입니다. 기사에서 놀라.. 2009. 4. 7.
[펌] `Civil War in the United States?` 월러스틴 옹/브레진스키가 미국내 폭동을 염려하는 글을 올렸습니다. 작년에 우석훈 교수나 김광수 경제연구소쪽에서 우리나라에서의 폭동이야기를 했을때 긴가민가하면서도 조심스러웠는데, 미국에서도 동일한 시각이 있군요. 결국 사태의 본질을 파악한 사람들은 이게.. 그냥 넘어가기 어려울 정도로 그 동안 기득권측의 탐욕이 지나쳤다고 생각하는 모양입니다. 이번 금융위기를 계기로 계급갈등이 촉발될 수 있다고 보는듯 합니다. 이제 정작 미국에서는 이런 시각이 나타나는 판국에.. 우리나라의 3월은 너무나 평온하게 지나가고 있군요. 환율은 낮아지고 있고, 주가는 1200선을 오르락내리락 하면서 3월 수출입흑자는 45억불을 넘어설거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제 위기는 지나간걸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경제나 이런거 큰 관심.. 2009. 3. 25.
[펌] `제국` 미국의 몰락 이후 시나리오는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이탈리아의 정치철학자인 안토니오 네그리는 그의 제자인 마이클 하트와 쓴 공저 '제국'을 통해선진국의 정치ㆍ경제ㆍ군사적 네트워크가 전 지구를 장악해가는 양상을 '제국'(Empire)이라고 표현한 바 있다. 20세기 등장한 제국은 단연 미국이었다. 미국은 20세기 전반부터 막강한 경제력과 군사력을 바탕으로 전 세계를 잠식해갔다. 미국은 역사상 가장 강력했다는 로마제국에 비견될 정도였다. 하지만 21세기 들어 미국의 힘은 급속도로 약해지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이라크전은 미국을 수렁에 빠뜨렸고, 금융경색이라는 격랑은 미국호를 좌초 직전으로 몰고 갔다. 이매뉴얼 월러스틴과 함께 '세계체제론'을 분석한 조반니 아리기 미국 존스홉킨스대 교수는 '장기 20세기'(그린비 펴냄)를 통해.. 2009. 1. 2.
[펌-아고라] 은행권 문제에 대한 정확한 분석 오래간만에 아고라에서 건진 주옥같은 글입니다. '세일러' 라는 필명이신데, 현재 한국 은행들이 처한 구조적 어려움을 가장정확하게 짚어내고 있는 글입니다. 상당히 많은 시사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4회에 걸쳐 연재하신 글을 모두 모아보았습니다. 요약을 좀 해보자면.. 1. 지난 몇년간 수출액이 늘었고, 환율은 계속해서 떨어졌다. 이것은우리나라 경제의 건전성을 입증하는 지표이다. 2. 수출대기업(주로 조선업) 입장에서는 시간의 흐름에따라 달러가치가 내려가는 추세였기 때문에 이를 헤지하기 위해 달러 선물환을 매도하였고, 이에 따라 외화차입금과 국내 유동성이 늘어났다. 3. 수출액 증가 및 환율 하락 추세가 계속되었으면 그나마 굴러갔을텐데, 9월부터 전세계적인 경제위기로현재 추가적인 달러 선물환 매도가 일어나지.. 2008. 12. 12.
[펌-프레시안] 우리는 왜 원화를 못지키는가? 우석훈 교수가 환율에 대해서 언급하였습니다. 작금의 환율불안에 대해서 근본적인 원인으로 짚었군요. 한마디로 '시장의 불신' 이라는 겁니다. 즉 외국인들이 한국 경제 실적이 아닌 한국의 '정책당국' 을 보는 시선이 불신으로 차있기 때문에 환율이 출렁거린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런 배경하에 환투기 세력들이 달라붙었다는 것이지요. 결국 경제정책 방향의 급격한 변화가 없는한 지금같이 출렁거리는 환율은 계속될듯 합니다. 주식도 마찬가지지만 이처럼 출렁거리는 장에 뛰어드는 것은 위험한 짓임이 틀림없습니다. 어찌됐건 지난번 한은의 금리인상도 그렇고 적자재정정책 등도 그렇고.. 이 정부는 이미 환율 쪽 보다는 부동산 거품을 더 신경 쓰는건 맞는듯 싶은데... 부동산 거품은 빠른 속도로 꺼져가고 있고, 환율마저 이렇게 미.. 2008. 11. 24.
[펌] 2차 부도위기에 몰린 한국의 은행들 바로 이어서 하나 더 펌합니다. 역시 착한사람님도 현재 우리나라 경제환경에서는 금리인상이 정답인 것으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과연 이 정부는 어느정도까지 위기의 진폭을 키울까요? -----------------------------------------------------------------기업이 어음을 막지 못하면 부도 처리된다. 마찬가지로 은행이 대출금을 못 갚아도 부도 처리된다. 얼마 전 몇 개 대형 시중은행들이 1차 부도위기까지 치달았다. 그걸 어떻게 아느냐고? 외화로 조달된 차입금의 만기연장과 신규차입이 꽉 막혔는데 은행인들 무슨 수로 버티나. 버젓이 눈에 보이는 게 안 보인다고 한다면 그건 장님이랄 밖에…정부가 미국 재무부로 달려가 스왑에 목을 맸던 것은 은행들의 부도를 막기 위해서 였을 .. 2008. 11. 21.
[펌] 중국경제 붕괴의 징조 역시 인터넷 강호엔 고수가 많습니다. 오늘 웹질 중 '서프라이즈'에서 '착한사람' 이란 필자를 알게되었습니다. 예전 글 들을 쭉 읽어보았는데... 현 금융위기를 거시적인 관점에서 정말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일단 가장 최근의 글을 펌해봅니다. 정확하게는 붕괴의 징조라기 보다는 중국경제의 구조적 모순점에 대한 이야기인데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언론에서 드디어 중국붕괴에 대한 시그널을 보내기 시작했다. 경기침체로 중국에서 대규모 민란이 일어날 것이란 예측이 나오는가 하면 중국관련 회사 CEO들의 대부분은 내년 중국 경제의 경착륙을 예상하고 있다는 것이다.그렇다면 중국경.. 2008.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