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2, Liaquat Ahamed

 

최근의 양적완화와 이에 따른 자산거품을 생각하면 궁금해진다. 역사에서 배울 수는 없을까?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은 그 유명한 1929년의 월스트리트 대폭락, 일명 '검은 목요일'. 엄청난 거품에 뒤이은 주식시장 폭락이 장기간의 대공황으로 이어진 사건이다. 이 시대를 잘 살펴보면 오늘날 일어나고 있는 일들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대공황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그 전에 발생했던 1차대전을 빼놓을 수 없다. 간략하게 개조식으로 정리해 보자.

  • 1차 대전 이전까지는 영국 주도의 Pax Britannica로 인해 장기간의 풍요를 누렸던 시기

  • 당시 영국은 월등한 산업생산성에 바탕을 둔 유휴 자본을 활용하여 국제적인 금융의 중심지가 됨

  • 그러나, 1차 대전은 장기간의 소모전으로 서구 열강의 유휴 자본을 모두 소진(미국 제외)

  • 종전 이후 독일은 거액의 배상금으로, 영국과 프랑스는 미국에 진 전쟁부채 형태로 국제적인 채무관계가 형성됨

 

대공황을 만들어낸 근본 원인은 바로 저 채무관계로 인한 국제적인 유동성의 축소였다. 문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든 것은, 당시 국제 금융 질서의 기반은 금본위제였다는 것. 즉, 금의 공급이 갑자기 늘어나지 않는 이상, 유동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구조. 더군다나 이런 문제점은 19세기 말부터 시작되었던, 미국의 부상과 영국의 생산성 저하로 인해 더욱 심화되었다. 1차 세계대전 이전까지만 해도 국제 금융의 중심은 영국의 파운드화였고, 파운드화의 가치는 영국이 가진 금에 기반을 두었다. 전쟁 이후 생산성 격차에 의해 대부분의 유휴자본이 미국으로 흘러들어갔지만, 영국의 중앙은행은 금본위제를 포기할 수 없었고 이로인해 영국수출품의 경쟁력 하락을 감내할 수 밖에 없었다. 파운드화의 가치를 재조정하지 않고 국내의 유동성을 늘일 수 있는 방법은 해외로부터의 투자가 유일했다. 이를 위해서 미국이 자국의 이자율을 인위적으로 낮춰야 했고, 결국 주식시장의 거품이 발생했던 것. 

 

지금 돌이켜 생각해보면 금본위제를 고수했던 당시 중앙은행장들은 어리석은 노인네 처럼 과거에 집착한 셈이다. 화폐와 금의 관계를 끊고, 화폐 발행량을 늘려 유동성을 공급했으면 쉽게 공황을 극복할 수 있었을텐데...라는 생각이 들수도 있다. 당시 중앙은행장들의 공포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려면, 중세시대를 겪으면서 자주 발생했던, 화폐가치의 인위적인 조작으로 인해 빈번했던 인플레이션의 역사를 고려해야 한다. 과거에도, 현재에도, 중앙은행의 최우선 과제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화폐가치 하락의 방지이다. 이런 측면에서 작년에 미국중앙은행에서 어느 정도의 인플레이션은 용인할 수 있다는 '제롬 파월'의 발언은 역사적인 맥락에서 볼때 엄청나게 이례적인 말이며, 우리가 겪고 있는 팬데믹이 얼마나 유래없는 상황인지를 알려준다.  

 

전후 배상금을 둘러싼 국제금융인들의 협상과정과 독일이 겪었던 하이퍼인플레이션에 대한 설명을 읽으면서, 독일인들이 나찌를 선택한 이유가 납득이 갔다. 다음은 이 책의 주요한 인물이기도 한 독일의 중앙은행장 Schacht 가 한 발언이다. 

 

“ Don’t forget what desperate straits the Allies drove us into . They hemmed us in from all sides — they fairly strangled us ! Just try to imagine what a cultured people like the Germans has to go through to fall for a demagogue like Hitler . . . . All we wanted was some possibility for export , for trade , to live somehow . . ."

 

왜 독일인들이 히틀러를 자신들의 지도자로 추대하고 따랐는지를 물을 것이 아니라, 당시 독일인들의 상황이 나찌든 누구든 경제적인 안정을 가져다주는 정치세력을 선택할 정도로 필사적이었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프롬의 '자유로부터의 도피'는, 2차 대전 당시 독일인들의 집단적인 정서 보다는, 현대인의 소비생활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툴로 보인다. 장기간의 경제적 어려움과 이를 초래한 서구열강들에 대한 분노를 느끼고 있던 독일인들에게 국가사회주의가 보여준 비전이 얼마나 설득력이 있었을지 쉽게 이해가 간다. 

 

1차 대전 이후 세대가 유동성 부족으로 대공황을 겪었다면, 오늘날 우리가 겪고 있는 경기침체는 다른 원인을 찾아야 한다. 왜냐하면 우리에게 유동성은 이미 차고 넘치므로... 가장 그럴듯 한 설명은 'Secular Stagnation'이다. 오늘날 자본주의는 사람들이 소비하지 못할 만큼 풍족하게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것은 최소한 발전한 선진국에 대해서는 황당한 이야기가 아니다. 'Bullshit Job'의 근본원인도 이미 공급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미디어와 SNS를 통해서 사람들의 소비를 유도하지만, 이미 사람들은 남는 시간을 모두 바쳐도 충분히 소비하지 못할 만큼 많은 '물건'을 가지고 있다. 최소한 일부 국가의 일부 계층에서는 그렇다. 그리고 그 일부국가의 일부계층이 가장 구매력이 높은 집단이다.

 

월러스틴이 이야기한 장기 자본이득 저하현상과 피케티가 이야기한 자본소득이 노동소득 대비 높은 상승률을 보이는 현상은 모두 같은 이야기한다. 즉, 세계 경제가 소비능력을 넘어서는 공급 능력을 확보했다는 것. 이제 경제의 문제는 공급능력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소비능력을 늘리는데 있다. 우리 세대는 그야말로 새로운 세계를 향해가고 있다. 노예 없이도 전체 사회의 물질적인 필요를 충족할 수 있게 된, 그러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직장이 없어 빈곤한 삶을 살아가는 기이한 SF와 같은 시대. 

'Lectu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팩트풀니스  (0) 2021.03.14
Spinning Silver  (0) 2021.03.08
그런 깨달음은 없다  (0) 2021.01.23
A Deadly Education  (0) 2021.01.03
세습 중산층 사회  (0) 2020.12.23
Posted by 중년하플링 :

듄 신장판 리뷰

2021. 2. 14. 11:25 from 내가 쓴글

예전에, 아마도 30년 전 쯤?, 읽었던 듄은 그다지 인상 깊지 않았다. 워낙 오래되어서 기억이 정확하지는 않지만, 그닥 재미가 없었달까? 

 

듄 영화와 관련해서 다시 한번 신장판으로 나왔다는 소식을 들었을때, 워낙 디자인이 예뻐보여서 내용과 관련없이 안살 수가 없었다. 배달되어온 책을 보니... 오.. 이쁘다. 이건 내용을 떠나서 디자인 만으로도 살 가치가 있는 책이다. 

 

표지 디자인이 참 예쁘네. 6권으로 된 책은 모두 표지가 별도로 되어있다. 

 

 

1권은 노란색 표지이고, 2권은 주황색 이런 식으로 각권이 다른 색깔의 하드커버로 만들어져 있다. 하드커버 판이기는 하지만, 이렇게 성의있게 만들어진 만듬새는 거의 처음인듯 싶다. 장르소설이지만 제본과 장정은 사회과학서 같은 느낌. 

 

여하튼, 감동하면서 1권을 읽어보니... 이건 재밌네! 오.. 재미있다. 

 

내가 30년 전에 읽은 책은 아무래도 축약본이였던듯. 책이 이뻐서가 아니라, 내용 자체가 재미있다. 강추~!

 

 

 

'내가 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 상사 유형론에서 나는 어떤 타입일까?  (0) 2016.08.22
블로그에 대한 변명과 새로운 각오  (0) 2016.05.22
Les Misérables  (0) 2012.12.25
재태크의 역설  (0) 2012.06.14
NPR 추천 Fantasy/SF 100선  (0) 2011.10.20
Posted by 중년하플링 :

그런 깨달음은 없다

2021. 1. 23. 11:58 from Lectura

  • 2021.1, U. G. 크리슈나무르티 

 

크리슈나무르티... 유명하지...응? ? '지두 크리슈나무르티'가 아니네? 하... 이젠 이런 책도 짝퉁이 나오네. 

 

어쨌든 돈이 아까워서 마저 읽어버린 책. 이름은 같지만 '지두 크리슈나무르티'의 짝퉁이 아닙니다. 크리슈나무르티는 인도에서 꽤 흔한 이름이라고 하네요. 그리고 이 책의 저자인 크리슈나무르티와 유명한 '지두 크리슈나무르티'는 서로 모르는 사이도 아니고, 7년 정도 교류를 했었다고 하네요. 이런 쪽으로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충분히 읽어볼만한 책입니다. 처음엔 되게 근본없이 자기자랑 하는 것 같았는데, 읽어볼 수록 심오한 이야기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자는 어려서부터 영적인 수련을 받았고, 스스로도 답을 찾기 위해 많은 방황을 했다고 하네요. 그러다가 어느 날 세상이 폭발하는 같은 경험을 하고나서, 어떤 '상태'에 이르게 됩니다. 그 상태는 '자아'라는 환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지입니다. 하지만, 그 '상태'는 우리가 생각하는 지복/극락/삼매의 상태와는 좀 다릅니다. 그는 자신과 깨닫지 못한 우리가 그다지 다르지 않다고 합니다. 단지 자신은 '자아'라는 생각의 작용에 휘둘리지 않는다는 점? 일상적인 상태에서 '자아'가 개입해서 여러 사고작용을 하지 않는다는 주장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생각을 멈추기 위해 노력을 하지만, 생각은 생명과 같은 말이기 때문에 없어지지 않는다고 합니다. 때문에 생각을 멈추라는 말을 하는 스승들은 잘 모르거나,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비난을 합니다. 어떤 경지를 성취하기 위한 노력은 '자아'를 강화하기 때문에 '자아'의 소멸을 목적으로 노력해 봐야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주장. 자신은 '우연히' '그 상태'에 이르게 되었지만, 이런 일은 말 그대로 우연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의식적인 모든 노력은 무의미 하다고 하네요.

 

다 읽고 나면 의외로 그렇게 파격적인 주장이라기 보다는, 불교의 선문답을 연상시킵니다. 어쩌면 깨달은 사람의 실제 모습은 U.G. 크리슈나무르티에 더 가까운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어요. 그 동안 막연하게나마 '깨달음'이라는 상을 짓고 기웃거리던 스스로에게 모든 것을 다른 각도로 들여다보게 만들어준 계기가 된 책입니다. 

'Lectu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inning Silver  (0) 2021.03.08
Lords of Finance (금융의 제왕)  (0) 2021.02.14
A Deadly Education  (0) 2021.01.03
세습 중산층 사회  (0) 2020.12.23
디지털 미니멀리즘  (0) 2020.11.23
Posted by 중년하플링 :

A Deadly Education

2021. 1. 3. 11:42 from Lectura

  • 2021.1, 나오미 노빅

 

세상은 위험으로 가득 차 있고, 우리 모두는 살아남기 위해 노력한다. 모든 존재는 생존에 조금이라도 유리한 조건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한다. 우리가 문명이라고 부르는 것의 본질은, 위험한 세상으로부터 격리된 안전망이다. 안전망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수의 노력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위계(Hierarchy)가 필요하고, 위계는 필연적으로 빼앗긴 사람들(Dispossessed)을 만들어 낸다. 빼앗긴 사람들은 비록 위계안에서 불리한 자리를 차지하고는 있지만, 문명 밖으로 내던져진것 보다 나은 상황이기 때문에 현실을 참고 견딘다. 

 

당신이 빼앗긴 사람이라면, 어떻게 사는 것이 옳은가? 불공평한 위계를 뒤집어 엎고, 문명을 무로 돌릴 것인가? 위계 안에서 어떻게든 남보다 우위에 서기 위해 노력할 것인가? 

 

해리포터의 마법학교와 헝거게임을 뒤섞은 것 같은 이 소설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마법사 아이들은 마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maleficients 라는 사악한 존재들의 먹이가 될 수 있다. 사춘기 마법사들은 생존확률을 높이기 위해 Scholomance라는 학교로 모이고,  졸업할때까지 이곳에서 마법을 배워야 한다. 하지만, 이 학교는 말그대로 전쟁터와 같은 곳. 사악한 존재들이 끊임없이 아이들을 죽이거나 헤치기 위해 노리고 있다. 입학생 중에 1/4 정도만 살아서 나가는 학교. 아무도 믿을 수 없고, 자기자신의 재능과 능력으로 하루하루를 헤쳐나가야 한다. 친구 한명 없이 외롭게 생존을 이어가던 주인공은 우연한 기회에 학교 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만나게 된다. 

 

주변 친구들과의 우정을 만들어내고, 성장하는 스토리는 해리포터와 같은 청소년 성장소설로 읽기에 손색이 없다. 하지만 세상에 대한 우화로도 읽을 수 있다. 일상에서 사소한 실수 하나가 큰 부상이나, 죽음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 생존을 담보하기 위해 마키아벨리적인 삶의 방식을 따를 수 밖에 없다. 모든 행동에 대해 유불리를 따지고, 다른 사람들과의 연합을 통해 생존 확률을 높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방식이다. 생존률을 높일 수 있는 위계가 이미 이 시스템 안에 존재한다면, 그 위계안에서 유리한 자리를 차지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생존전략이 될 것이다. 모든 사람들이 똑같은 행동전략을 채택하고 있다면, 균형적인 판단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어느 순간에서는 High Risk/High Return의 결정을 해야 위계안에서 지위를 올릴 수 있다. 

 

  • We all have to gamble with our lives in here, we don’t get a choice about that; the trick is figuring out when it’s worth taking a bet.

 

이 과정에서 나보다 경쟁력이 떨어지거나, 부주의 하거나, 단순히 운이 없는 사람들이 뒤쳐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며, 그들에 대한 동정은 사치가 된다. 이런 행태를 악하다고 부를 수 있을까? 나의 생존을 담보하기 위한 전략은 어디까지가 어쩔 수 없는 것이고, 어디서 부터 악한 것이 될까? 우리는 어떤 사람들을 악이라 부르고, 우리와는 다른 존재로 규정한다. 하지만 이러한 구분은 어떤면에서 무척이나 해롭다. 

 

  • She says it’s too easy to call people evil instead of their choices, and that lets people justify making evil choices, because they convince themselves that it’s okay because they’re still good people overall, inside their own heads.

 

주인공 'El'의 선택은 영웅적이다. 위계를 무로 돌리지 않으면서도, 빼앗긴 사람들을 보듬어 안는 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영웅적인 행동이다. 그리고, 그 영웅적인 행동을 통해 본인을 정점으로 하는 새로운 위계를 만들어 낸다. 이렇게 해서 사회와 문명은 새로운 생명을 얻고, 다시 한번 새로운 사이클을 시작한다. 

'Lectu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rds of Finance (금융의 제왕)  (0) 2021.02.14
그런 깨달음은 없다  (0) 2021.01.23
세습 중산층 사회  (0) 2020.12.23
디지털 미니멀리즘  (0) 2020.11.23
The Male Brain  (0) 2020.09.03
Posted by 중년하플링 :

세습 중산층 사회

2020. 12. 23. 15:06 from Lectura

  • 2020.12 조귀동 지음

 

한 문장으로 정리하면, 386세대가 사회의 기득권이 되면서 그 자녀 세대에 계층분화가 일어난다는 주장이다. 

 

핵심요약

  • 386세대(현재 50대 60년대생)의 생애과정은 우리나라 대기업의 성장과정과 궤를 같이함

  • 그들이 취업시장에 들어오던 80년대부터 우리나라 경제는 중화학 공업화와 대기업의 성장/고도화를 동시에 겪으면서 취업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함(그 전 세대의 대졸자 취업율은 50%에 머물렀음)

  • IMF는 이들에게 오히려 기회가 되었는데, 그 당시 차부장이였던 50년대생들이 구조조정을 당해 만들어진 자리를 차지하면서 조직에서 상층으로 올라감

  • 386세대의 자식세대는 중산층 부모를 둔 G세대(Global)와 N포세대로 나뉨

  • 초임 기준 월 300만원 이상을 지급하는 직장은 2017년 기준 11.4%에 해당됨

  • 상위10개(포스텍, 카이스트, 성균관대,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 한양대, 서강대, 중앙대, 경희대) 대학졸업생의 월평균 초임과 취업율은 다른 수도권 4년제나 지방4년제에 비해 큰 격차를 보임

  • 이는 대기업들의 사업구조가 고도화 되면서 고숙련 노동자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저숙련 노동자의 수요는 감소하면서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 가능

  • 일부 전문직, 공무원, 대기업에 취업하는 약 10%와 나머지 90%의 삶의 격차는 이후 지속적으로 유지됨

  • 부모 세대의 사회자본은 교육 투자와 주택 구매라는 형태를 통해서 자녀 세대로 이전 됨

  • 성장율과 이자율이 동시에 낮아지고 향후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현재 상황에서 인적자본 확대를 통한 임금소득의 증대는 더욱 투자 매력도가 증가하였음. 이에따라 중산층은 자녀교육에 더욱 많은 자본을 투여 함. 

 

어느 책에선가 우리나라 최초로 계층 분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던 시기가 90년대라는 주장을 보았다. 개인적인 경험에 따르면 일리가 있는 주장이다. 우리사회는 그때를 기점으로 계속해서 계층화가 진행되었다. 계급화 논의의 가장 주요한 전장은 교육과 부동산이다.  모두들 알고 있다. 저 두 영역이 앞으로 내 자식의 사회적 위치를 결정하는 가장 주요한 분야라는 것을. 그렇기 때문에 모두 빚을 내서라도 자식은 좋은 대학에 보내고, 요지에 있는 아파트를 구매하려 한다. 

 

역사를 통해 계층화가 일어나지 않은 사회는 없었다. 어쩌면 우리나라의 그 동안 경험이 특수했던건 아닐까? 다 같이 못살던 나라에서 이제 선진국에 들어섰으니, 계층화는 피할 수 없는 일인지도 모른다. 과거 모두 못 살던 나라에서 그나마 선진국으로 들어섰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겪게 되는 게 아닐까 싶다. 충분한 소득을 제공할 수 있는 일자리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현 상황에서 근로 소득으로 인한 계층화를 근본적으로 없앨 수 있는 방안이 있는가? 

 

계층화에서 비롯된 사회 갈등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이 문제는 우리나라만의 특수성이 아니라, 전 세계 선진국들이 동시에 겪고 있는 보편적인 것으로 보아야 한다. 즉, 우리나라도 빨리 이 갈등을 해결하지 않으면, 미국/영국과 같은 포퓰리즘에 기반한 정치인을 보게 될 수도 있다. 그나마 아직까지는 유럽 선진국들이 대중주의 기반의 파시즘을 막아내고 있다. 영미식 자본주의와 유럽식 자본주의의 차이일까?

 

궁극적으로는 증세를 통해 세입을 늘려 추가된 세원으로 취약계층을 지원해주는 형태가 되지 않을까 싶다. 물론 계층화에 이르는 과정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만들어지도록 노력해야 겠지만, (결국 어떤 식으로든 계층이 생길 수 밖에 없다면), 계층화를 통한 초과수익을 세금을 통해 회수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해결책 아닐까? 

 

 

'Lectu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런 깨달음은 없다  (0) 2021.01.23
A Deadly Education  (0) 2021.01.03
디지털 미니멀리즘  (0) 2020.11.23
The Male Brain  (0) 2020.09.03
Empty Planet  (0) 2020.08.30
Posted by 중년하플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