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 The Existentialist Cafe

2020. 4. 28. 16:06 from Lectura
  • 2020.4, Sarah Bakewell
 
실존주의 철학이 무엇인지, 그 철학을 한 사람들은 누구이고 그들은 어떤 역사적 맥락에서 그런 철학을 했는지 이야기해주는 책. 철학자의 삶과 유리된 아이디어 설명에 그치지 않고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삶을 함께 조망하는 접근 방법을 택하고 있다. 
 
그 동안 읽으면서 울림을 느꼈던 많은 글과 이야기 저변에는 실존주의가 있었다. Jordan B. Peterson교수, 소명을 따르라 이야기한 신화학자 조셉 캠벨,  야키 인디언 돈 후앙의 가르침, 선과 모터사이클 관리술 등… 실존주의라는 맥락을 알고 나니 왜 이런 주장이 나왔는지 훨씬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어찌보면 실존주의 철학은 니체 이후 절대자의 공백을 메우기 위한 시도 중 가장 성공적인 시도였고, 많은 사상과 문학이 실존주의 철학의 영향을 받은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책에 따르면 실존주의는 키에르케고오르, 니체, 후설, 하이데거, 야스퍼스와 같은 철학자들의 영향을 받아출현하였다. 19세기 합리적 세계관의 확산에 따른 종교의 쇠퇴와 1,2차 세계 대전을 통한 인간성 말살의 위기를 겪고 난 사람들은 절대 원리에 기반하지 않은 삶의 철학을 고민하게 되었다. 신이 없다고 한다면 주어진 삶을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 Sartre’s big question in the mid - 1940s was: given that we are free, how can we use our freedom well in such challenging times?
 
아니 어떻게 살 지를 고민하기 전에 절대적인 논리적, 종교적 기반 없이 계속해서 살아갈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때문에 이것은 논리의 문제가 아니라 의지의 문제이다.
 
  • For Camus, we must decide whether to give up or keep going. If we keep going, it must be on the basis of accepting that there is no ultimate meaning to what we do.
 
이러한 자유에 직면해서 많은 사람들은 공포에 질리거나 별다른 의미없이 일상을 채울 수 있는 다양한 습관을 통해 삶에 대한 고민 없이 살아가고 있다. 이런 핑계를 ‘bad faith’라고 불렀다. 
 
  • Sartre argues that freedom terrifies us, yet we cannot escape it, because we are it.
  • For Sartre, we show bad faith whenever we portray ourselves as passive creations of our race, class, job, history, nation, family, heredity, childhood influences, events, or even hidden drives in our subconscious which we claim are out of our control.
 
우리에게 주어진 자유에 압도되지 않으면서, 모든 것이 정해져있다는 숙명론에 빠지지 않은 채로, 내가 가진 삶을 살아가는 것. 그것이 바로 실존주의이다. 
 
  • The way to live is to throw ourselves, not into faith, but into our own lives, conducting them in affirmation of every moment, exactly as it is, without wishing that anything was different, and without harbouring peevish resentment against others or against our fate.
  • The ambiguous human condition means tirelessly trying to take control of things. We have to do two near-impossible things at once: understand ourselves as limited by circumstances, and yet continue to pursue our projects as though we are truly in control. In Beauvoir’s view, existentialism is the philosophy that best enables us to do this, because it concerns itself so deeply with both freedom and contingency.
 
유교의 중용이나 Jordan Peterson 교수의 Order/Chaos 사이를 걸어가는 인간의 이미지와도 유사하다. 
 
  • For Beauvoir and Sartre, this was the big lesson of the war years: the art of life lies in getting things done.
 
어떻게 살아야 할지에 대한 답을 실존주의에서 구할 수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사르트르와 보봐르의 삶은 우리가 지향 할 수 있는 삶의 한 가지 형태를 보여준다. 사르트르는 많은 흠이 있는 사람이였지만, 한번만 주어진 자신의 삶을 치열하고 정열적으로 살아간 지식인이였다. 편안한 주류로의 편입을 거부하고 늘 사람들을 불편하게 만든 철학자였다. Bad Faith를 거부하는 삶. 
 
그 당시는 전쟁이나 식민지 독립 같은 이슈들이 문제였다면, 오늘 날은 소비주의와 자본주의가 장애물일 수 있다. 자유에 압도당하지 말고, 허위에 기대지도 말자. 
 
홀로 행하고 게으르지 말며
비난과 칭찬에도 흔들리지 말라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진흙에 더럽히지 않는 연꽃처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 Sutta Nipata
 

'Lectu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Psychoanalysis and Zen Buddism  (0) 2020.05.19
과식의 심리학  (0) 2020.05.08
일본인 심리상자  (0) 2020.04.24
Psychoanalysis and Religion  (0) 2020.03.03
삶은 왜 짐이 되었는가?  (0) 2020.02.13
Posted by 중년하플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