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욕적으로 시작한 IPTV이지만, 역시나 쉽지가 않군요. IPTV의 경쟁사는 Telco자신들이 아니라 바로 케이블사업자들입니다. 애초부터 우리나라의 유무선 PayTV 시장은 Telco들이 탐낼만큼 먹거리가 큰 사업영역이 아니었습니다. 그걸 TPS니 QPS니 하는 논리로 발을 담근거죠. 

이 시점에서 가입자 증가세가 주춤한 것은 이제 마케팅비용이 소진된 상황에서는 당연한 것으로 보입니다.
 
 1. IPTV가 CableTV에 비해서 서비스 자체가 '혁신적'인 가요? 답은 아닙니다. 단지 컨텐츠 전달 통로가 다른것 뿐인데, 소비자들은 컨텐츠를 구매하지 그 전달통로를 중요하게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2. 그렇다면 IPTV가 Cable사업자들에 비해서 컨텐츠 수급능력이 뛰어날까요? 역시 답은 부정적입니다.

기사에서 놀라운 점은 CJ헬로비전이라는 MSO의 가입자 기반이 252만 정도라는 것입니다. 작년 이맘때쯤 기사를 보면 전체 가입자 수는 1400만명 정도라고 합니다.  케이블TV가입자 수

Telco들이 답해야 하는 중요한 질문은 이것입니다. 
 - 과연 인터넷접속상품의 시장 지배력이 IPTV로 얼마만큼 전이될 것인가? 그 지배력 전이의 강도가 기존 케이블사업자들을 걷어내고 시장을 재편할 수 있을만큼 강한것인가? 그렇게 해서 얻어진 시장의 크기는 시장을 얻기 위해 감내할 만한 비용을 넘어서는가?

여전히 암울해 보입니다. 
 


---------------------------------------------------------------------------------------------


IPTV(인터넷TV)가 초반 바람몰이에 실패하면서 깊은 고민에 빠졌다. 지난 해 11월 지상파 방송을 제공하면서 '방통 융합의 꽃'이라는 평가속에 화려하게 등장했던 실시간 IPTV는 하지만 출범 5개월이 넘도록 콘텐츠 부재로 인해 가입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전전긍긍하는 형국이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KT의 메가TV와 SK브로드밴드의 브로드&TV, 그리고 LG데이콤의 마이LGtv 등 IPTV 서비스 3사는 지상파 실시간 방송 이후에도 가입자가 늘지 않는 정체 국면을 맞고 있다. 3월 말까지 누적 가입자는 KT가 70만여명, LG데이콤이 11만여명으로 추산된다. 3월말 현재 집계가 끝나지 않은 SK브로드밴드는 2월말(76만7000여명)과 비슷한 수준으로 추정되고 있다. 

지난 해 말과 비교하면 KT는 5만명, SK브로드밴드는 1만여명 줄어들었고, LG데이콤은 4만여명 소폭 증가에 그쳤다.

IPTV와 경쟁하는 케이블TV는 일단 안도의 한숨을 내쉬고 있다. 케이블TV 업계 관계자는 "IPTV가 실시간 서비스를 시작하면 케이블TV가 큰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현상황을 보면 꼭 그렇지도 않은 것 같다"고 속내를 털어놨다. 

실제로 수도권 주요 MSO(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인 씨엔앰은 3월 한달 순증 가입이 4400여건으로, 전년 동기(3700여건) 대비 오히려 700여건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MSO인 CJ헬로비전도 지난해 12월부터 올 3월까지 누적 가입자 252만7000여명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이는 케이블TV에 대한 IPTV의 공세가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IPTV가 이처럼 바람몰이에 실패한 가장 큰 요인은 바로 '콘텐츠 부재'라는 것이 업계의 공통된 관측이다. 

최근 방통위에 보고된 'IPTV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개월(2008.12~2009.02)간 IPTV 서비스 가입자 증감은 KT가 -4만6601명, SK브로드밴드가 -1598명, LG데이콤이 +1만9971명을 기록했다. 보고서는 "이탈자의 60% 이상이 IPTV 서비스만의 차별화된 콘텐츠가 없고, VOD 요금이 비싸다는 불만을 제기했다"고 분석했다.

업계는 KT와 SK브로드밴드 등이 3~6개월 간 무료로 실시간 IPTV서비스를 제공하다가 유료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들이 대거 이탈한 것이 마이너스 성장으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현재 각 IPTV 서비스는 지상파와 케이블TV PP(방송채널사용사업자)들로 채널을 구성, 케이블TV와의 차별화에 실패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IPTV 사업자측은 이에 대해 "멀티앵글 서비스와 실시간 거래 등 IPTV만의 특화된 콘텐츠 및 서비스가 부족한 것은 사실"이라며 "무료에서 유료로 전환하면서 이탈자가 발생하고 있지만 유료 가입자가 꾸준히 늘고 있는 것도 의미있는 현상"이라고 강조했다. 

업계에서는 차별화된 콘텐츠를 확보하지 못하면 결합상품에 묶이더라도 시너지가 약한 만큼, IPTV 사업자들이 특화된 콘텐츠 확보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정일 기자 jaylee@asiae.co.kr

Posted by 중년하플링 :
월러스틴 옹/브레진스키가 미국내 폭동을 염려하는 글을 올렸습니다. 작년에 우석훈 교수나 김광수 경제연구소쪽에서 우리나라에서의 폭동이야기를 했을때 긴가민가하면서도 조심스러웠는데, 미국에서도 동일한 시각이 있군요. 결국 사태의 본질을 파악한 사람들은 이게.. 그냥 넘어가기 어려울 정도로 그 동안 기득권측의 탐욕이 지나쳤다고 생각하는 모양입니다. 

이번 금융위기를 계기로 계급갈등이 촉발될 수 있다고 보는듯 합니다. 이제 정작 미국에서는 이런 시각이 나타나는 판국에.. 우리나라의 3월은 너무나 평온하게 지나가고 있군요. 

환율은 낮아지고 있고, 주가는 1200선을 오르락내리락 하면서 3월 수출입흑자는 45억불을 넘어설거라는 예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제 위기는 지나간걸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경제나 이런거 큰 관심 없습니다. 단지 다니던 일자리가 없어지고, 매일 오르던 매상이 줄어들고, 시장에 나가도 같은 돈으로 살수 있는 물건이 줄어들면... 뭔가 이상하다고 생각하기 시작하죠. 사람들이 서로 이야기하기 시작할때가 언제쯤 일까요?


 
----------------------------------------------------------------------------------------------

We are getting accustomed to all sorts of breakdowns of taboos. Theworld press is full of discussion about whether it would be a good ideato "nationalize" banks. None other thanAlan Greenspan, disciple of the superlibertarian prophet of pure marketcapitalism, Ayn Rand, has recently said that we have to nationalizebanks once every hundred years, and thismay be that moment. Conservative Republican Senator Lindsay Grahamagreed with him. Left Keynesian Alan Blinder discussed the pros andcons of this idea. And while he thinksthe cons are a bit bigger than the pros, he was willing to spend publicintellectual energy writing about this in the New York Times.


Well, after hearing nationalization proposals by arch-conservativenotables, we are now hearing serious discussions about thepossibilities of civil war in the United States.Zbigniew Brzezinski, apostle of anti-Communist ideology and PresidentCarter's National Security Advisor, appeared on a morning televisiontalk show on February 17, and wasasked to discuss his previous mention of the possibility of classconflict in the United States in the wake of the worldwide economiccollapse.


Brzezinski said he was worried about it because of the prospect of"millions and millions of unemployed people facing dire straits,"people who have become aware "of thisextraordinary wealth that was transferred to a few individuals withouthistorical precedent in America."


He reminded the listeners that, when there was a massive bankingcrisis in 1907, the great financier, J.P. Morgan, invited a group ofwealthy financiers to his home, locked them inhis library, and wouldn't let them out until they all kicked in moneyfor a fund to stabilize the banks. Brzezinski said: "Where is themonied class today? Why aren't they doingsomething: the people who made billions?"


In the absence of their doing something on a voluntary basis,Brzezinski said, "there's going to be growing conflict between theclasses and if people are unemployed and reallyhurting, hell, there could even be riots!"

Almost simultaneously, a European agency called LEAP/Europe thatissues monthly confidential Global Europe Anticipation Bulletins forits clients - politicians, public servants,businessmen, and investors - devoted its February issue to globalgeopolitical dislocation. The report did not paint a pretty picture. Itdiscussed the possibility of civil war in Europe,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t foresaw a "generalized stampede"that will lead to clashes, semi-civil wars.


The experts have some advice: "If your country or region is a zonein which there is a massive availability of guns, the best thing youcan do...is to leave the region, if that'spossible." The only one of these countries which meets the descriptionof massively available guns is the United States. The head ofLEAP/Europe, Franck Biancheri, noted that"there are 200 million guns in circul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social violence is already manifest via gangs." The experts who wrotethe report asserted that there is already anongoing emigration of Americans

to Europe, because that is "where physical danger will remain marginal."


If Brzezinski hopes for the emergence of another J.P. Morgan in theUnited States to force sense upon the "monied" class, the LEAP/Europereport sees a "last chance" in the April 2London meeting of the G20, provided the participants come forward witha "convincing and audacious" plan.


These analyses are not coming from left intellectuals or radicalsocial movements. They are the openly expressed fears of seriousanalysts who are part of the existing Establishment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Verbal taboos are broken only whensuch people are truly fearful. The point of breaking the taboos is totry to bring about major rapid action - theequivalent of J.P. Morgan locking the financiers in his home in 1907.


It was easier in 1907.


by Immanuel Wallerstein

Posted by 중년하플링 :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이탈리아의 정치철학자인 안토니오 네그리는 그의 제자인 마이클 하트와 쓴 공저 '제국'을 통해선진국의 정치ㆍ경제ㆍ군사적 네트워크가 전 지구를 장악해가는 양상을 '제국'(Empire)이라고 표현한 바 있다.

   20세기 등장한 제국은 단연 미국이었다. 미국은 20세기 전반부터 막강한 경제력과 군사력을 바탕으로 전 세계를 잠식해갔다. 미국은 역사상 가장 강력했다는 로마제국에 비견될 정도였다.

   하지만 21세기 들어 미국의 힘은 급속도로 약해지고 있다. 아프가니스탄, 이라크전은 미국을 수렁에 빠뜨렸고, 금융경색이라는 격랑은 미국호를 좌초 직전으로 몰고 갔다.

   이매뉴얼 월러스틴과 함께 '세계체제론'을 분석한 조반니 아리기 미국 존스홉킨스대 교수는 '장기 20세기'(그린비 펴냄)를 통해 이 같은 미국의 위기는 자본주의가 지닌 내적 모순에 비춰 필연적이라고 진단한다.

   그는 이탈리아 제노바의 축적순환, 네덜란드와 영국의 자본 축적체제 등 13세기부터 현재까지의 자본주의 역사를 분석하면서 미국이 쇠퇴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한다.

  저자에 따르면 제노바-네덜란드-영국으로 이어지는 각각의 축적 순환은 노동과 기계 같은 실물 부문의 투자가 증가하는 실질적 팽창국면과 실물 부문의 신규 투자가 점차 중단되고 금융 부문이 주요 산업으로 부상하는 금융적 팽창 국면으로 구성된다.

  특히 금융부문은 헤게모니 국가의 특권적 우위가 있는 부문인데, 이러한 금융적 팽창은 헤게모니의 쇠퇴국면에 반작용하는 요인으로작용하기 때문에 헤게모니의 쇠퇴는 단선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다시 한 번 반전하여 자본의 수익성이 상승해 호황을 누리는 국면이나타나는데 이를 '벨에포크'(belle epoque.경이적 순간)라고 부른다.

   그런데 미국은 1960년대 말부터 시작해 실물보다는 금융쪽에 기대는 금융적 팽창국면으로 진입했다는 것.

  즉, 미국을 중심으로 세계경제체제를 재편했던 브레턴우즈체제가 붕괴되면서 고정환율제가 변동환율제로 전환됐고, 이동자본에 대한규제가 제거됐으며, 공공채무의 증권화가 진행되는 등 신자유주의 금융세계화가 시작됐는데 이는 미국의 자본의 수익률이 하락하고20세기 초반의 실물적 팽창이 끝나면서 이를 금융적으로 해결하려는 증거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그러면서 1990년대 '신경제' 호황도 결국 '벨에포크'의 또 다른 증거라고 저자는 지적한다.

  저자는 제2차 세계대전 후 브레턴우즈체제와 발전주의 정책, 초국적기업망, 냉전체제, 국제연합이라는 틀을 가지고 본격적으로 전개한미국의 세계 헤게모니가 앞선 세계 헤게모니 국가들이 그 정점에 머문 기간에 비하면 매우 짧다고 지적하면서 이 같은 미국의 몰락과더불어 3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미국을 중심으로 두지만 대서양 연안의 각 국가들이 연합으로 지배하는 방식, 동아시아가 자본주의 세계경제의 중심지로 등장하는 방식, 그리고 헤게모니 국가가 부재한 카오스의 세계가 그것이다.

  저자는 "영국 헤게모니에서 미국 헤게모니로 이행기에 평화주의적 사회세력들은 장기의 전쟁과 체계의 카오스의 시기로 미끄러져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없었다. 과거에 불가능했던 것이 지금 가능할지는 열린 의문이며, 그 대답은 우리의 집합적 인간 행위자들에의해 결정될 것"이라고 말한다.

   책을 번역한 백승욱 중앙대 교수는 "'장기 20세기'의 중요성은 자본주의의 경향적 법칙을 역사적 자본주의라는 문제의식과 결합함으로써 자본주의의 역사적 구조를 설명한데 있다"고 말한다.

   656쪽. 3만5천원.

  

buff27@yna.co.kr
(끝)
Posted by 중년하플링 :
오래간만에 아고라에서 건진 주옥같은 글입니다. '세일러' 라는 필명이신데, 현재 한국 은행들이 처한 구조적 어려움을 가장정확하게 짚어내고 있는 글입니다. 상당히 많은 시사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4회에 걸쳐 연재하신 글을 모두 모아보았습니다


요약을 좀 해보자면..

  1. 지난 몇년간 수출액이 늘었고, 환율은 계속해서 떨어졌다. 이것은우리나라 경제의 건전성을 입증하는 지표이다.

  2. 수출대기업(주로 조선업) 입장에서는 시간의 흐름에따라 달러가치가 내려가는 추세였기 때문에 이를 헤지하기 위해 달러 선물환을 매도하였고, 이에 따라 외화차입금과 국내 유동성이 늘어났다

  3. 수출액 증가 및 환율 하락 추세가 계속되었으면 그나마 굴러갔을텐데, 9월부터 전세계적인 경제위기로현재 추가적인 달러 선물환 매도가 일어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가 달러공급상의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4. 달러 수요상의 문제점으로는 해외펀드들을 들 수 있는데, 앞에서 이야기한 조선사들의 달러선물환매도와 작동하는 방식을 비슷하지만, 최종적인 측면에서 좀 다른 효과가 발생한다. 즉 지금같은 전세계적인 자산 폭락기에 달러와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게 되어있다

  5. 이런 구조적인 공급 및 수요의 문제점으로 현재 장기적인 환율의 안정상에 문제가 좀 있다

 

  6. 한편 몇년간의 달러유동성 공급에 따라 국내 은행들은 마구잡이로 대출을 해줬고, 이때문에 예대율에문제가 생겨 시장수신성 자금에 의존하게 되었다

  7.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시장수신성 자금의 유입통로가 막혔고 이 때문에 국내 은행들은 은행으로써의 구실을 전혀 못하고 있다

 

현재 환율이 안정되기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고, 은행들도구조적인 문제가 있고.. 결과로서 부동산으로 대규모의 유동성이 흐르기에는 한계가 있고, 그렇다면 증권시장도 마찬가지일테고.. 은행의 구조적인 문제로인해 중소기업쪽으로는 자금이 돌지 않고 있다라는 이야기입니다

 

정석으로 풀려면 예대율 정상화인데, 이것은 SDE님의 해법과 유사해 질듯 합니다. 즉 수신금리를 올려서 시중의유동성을 은행으로 몰아주고 이를 통해 은행자산의 건전화를 이루면, 달러를 다시 안정적으로 들여올 수있을테고, 이렇게 환율이 안정되면 그 걸 바탕으로 경제가 굴러갈거라는 거죠


부동산가격의 하락을 막고 시중에 풀린 유동성을 유지한채로 은행문제를 해결할 수있는 해법이 정부에 있을까요

결국 은행 문제를 이런식으로 정부에서 해결하려고 하는 한 대규모의 재정투입이 불가피할테고.. 이는 내년도 적자재정폭의 심화로 이어질 것입니다

 

결국 이명박 정부가 생각하는 것은 미래 세대들의 수입을 땡겨서 오늘을 넘기자 정도아닐까.. 싶네요이번에 한은의 금리인하도 많은시각이 있지만, 이런 측면에서 봐야 할듯 싶구요

 

지금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내년도 예산안을 둘러싼 밀고 당기는 국회의 난리는 결국 의미가 있는 것이네요. 그동안 그 배경을 몰라서 그랬던 거죠.



---------------------------------------------------------------------------------


http://agora.media.daum.net/profile/list?key=WWrolAUSdZE0&group_id=1


여기 가시면 글 모음을 볼 수 있습니다. 


Posted by 중년하플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