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파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기28 [펌-정치통계] X 끊는 사회를 만들어 놓고 나 몰라라 하는 피 끓던 당신에게 원본은 여기 입니다. http://www.goodpol.net/inquiry/statistics.board/entry/45 현재 한국사회를 세밀하게 분석한 정말 좋은글... 방송과 음반시장의 가치사슬 분석에서부터 시작해서 봉건적 특권을 기반으로 돌아가는 경제체계를 갖춘 한국사회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가슴 서늘해 지는 이야기네요. ------------------------------------------------ -X 끊는 사회를 만들어 놓고 나 몰라라 하는 피 끓던 당신에게- 지난 3월7일 자정께 방영된 MBC의 ‘뉴스 후’를 두 번이나 봤다. 본방으로 한번, 인터넷으로 한번. 오랜 궁금증을 풀어주었기 때문이다. ‘뉴스 후’는 한류의 원천인 TV드라마 시장 생태계와 음악 시장 생태계의 현 주소를 잘.. 2009. 3. 25. [펌] 왜 한국의 조직노동이 세계적 기형인가? 이 글은 사회디자인연구소가 운영하는 홈페이지 좋은정치포럼(http://www.goodpol.net)에서매주연재되고 있는 글입니다.-------------------------------------------------------------------아래 표는 한국, 미국, 일본의 제조업 부문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영업이익률을 비교한 표이다. 대기업만 보면, 2002년 이후부터는 한국이 대략 8%대로 가장 높고, 미국이 6%대로 그 다음, 일본은 4~5% 대로 가장 낮다. 한국, 미국, 일본의 제조업 대기업 영업이익률 추이 그러나 중소기업만 놓고 보면 2005년 현재 미국이 6%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한국(4.3%), 일본(2.7%) 순이다. 문제는 한국은 이익률이 경향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데 심각성이.. 2009. 1. 24. [아고라펌] 마르크스 경제학에 대한 몇 가지 오해 아고라에 'SDE' 님의 글입니다. 제목이 글 내용을 말해주는.. 요즘 아고라 경제방을 자주 보고 있는데.. 처음에는 '미네르바'님의 글에 반해서 자주 들리기 시작했는데, 정작 'SDE' 님 같은 분이 계시군요. 거의 경제학 쪽 학위자 같은데.. 최근의 위기를 풀어 설명하는 능력이 '미네르바'님에 비해서 훨씬 낫네요. '미네르바' 님의 글은 화끈하고.. 정확한 예측을 하기는 했지만, 그 뒤로에서 돌아가는 메카니즘을 옅보기에는 좀 설명이 부족했던 부분이 있죠. 이에반해 'SDE'님의 글은 정말로 내공이 높은 고수의 풀어 쓴 글이랄까.. 그런데도 아고라에서 인기는 높지 않은듯 싶은걸 보면... ----------------------------------------------------------------.. 2008. 10. 13. [펌] 강철구 교수의 세계체제론 요약 - 프레시안연재물 정리 16-18세기 유럽경제의 발전과 세계체제 1. 16-18세기의 유럽경제와 자본주의 유럽 경제발전의 흐름 16세기는 유럽 경제가 오랜 침체를 겪고 나서 다시 활기를 되찾은 시기이다. 1340년대에 유럽을 휩쓴 흑사병은 유럽사회에 치명적인타격을 가했다. 남유럽에서 시작되어 이탈리아, 스페인, 잉글랜드, 프랑스, 독일, 스캔디나비아, 러시아로 번져 나가며 유럽인구의 약 1/3 정도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흑사병이 이렇게 무서운 결과를 낳은 것은 당시로서는 병을치료할 적절한 수단이 없었기 때문이다. 당시 유럽인들의 영양 상태가 좋지 않았던 것도 하나의 이유이다.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식량이 부족해졌고 따라서 병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졌던 것이다. 유럽경제는 중세의 오랜 침체 끝에 11세기부터 되살아난다. 그래서 인.. 2008. 4. 30. [펌]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아이들 amarius님 블로그에서 퍼옴 http://armarius.net/ex_libris/archives/2006_01.html ------------------------------------------------------------------------------------------------------ 배움으로부터 도주하는 아이들사토 마나부(지음), 손우정/김미란(옮김), , 북코리아, 2003 초판 1쇄, 2005 초판 2쇄. 중앙대학에서 논문작성법 강의를 마치고 강남의 압구정으로 가는 길에 노량진 학원가를 지나가게 되었다. 공부하는 사람이 그렇게 많이 있는 것을 처음 보았다. 남녀노소 구별이 없었다. readmefile.draft에서 다음과 같은 메모를 읽었다. "조선시대 고위 관료로 출세한 조.. 2008. 3. 21. [김어준아나토미] 세계관을 다시 한번 확인하시라 Q경제문제에 충동적인 남자와 결혼을 전제로 만나야 할까요 연애한 지 1년 된 30대 초반입니다. 제 남친은 돈을 너무 쉽게 낭비합니다. 명품 좋아하고 비싼 식당 찾아다닙니다. 처음엔 저도 함께 쇼핑하고 근사한 식당에 가는 게 신났고 또 시원시원하게 돈 쓰는 게 남자다워 좋기만 했습니다. 그런데 얼마 전 직장생활 5년간 저금 한 푼 하지 않았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나이도 저보다 많고 또 연봉도 훨씬 높은 그이기에 알아서 잘하고 있는 줄 알았습니다. 나이도 있고 해서 당연히 결혼 전제로 만나고 있었기에 그 사실을 알고 나니 갑자기 너무 막막하더군요. 조심스럽게 물어봤더니 지금 있는 오피스텔도 전세가 아니라 월세라고 하더군요. 오히려 꼭 집이 있어야 하는 거냐면서, 죽을 때 가지고 갈 집도 아닌데 그 돈, .. 2007. 12. 8. 보이지 않는 손의 종말 다음 글은 Monthly Review지의 인터넷판 3월호에서 퍼온 글입니다. 저자는 '합리적인 자본주의'라는 개념이 이데올로기에 불과하다는 비난을 하면서, 오늘날은 예전과 같은 자본의 위장마저 필요없는 탐욕스런 정글 자본주의가 득세하고 있다는 평가를 합니다. 이에 대한 대응책은 사회주의로의 회복을 역설하고 있네요.서론과 전개 모두 흥미진진하지만, 결말 부분이 조금 쌩뚱맞다는 생각이 듭니다.신자유주의라는 해일을 온 국민이 체감하고 있는 대한민국이라는 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큰 글이네요. 중간에 프랑스의 미테랑 대통령이 중도좌파였으며, 부유세 등의 도입을 통해 사회주의적인 정책을 실시했지만, 자본의 반격으로 집권 중후반기는 신자유주의적인 정책을 실시했다는 이야기도 처음 듣는 재미있는 이야기였습니다. 노무현 대.. 2005. 3. 25. IV. 다가오는 세계 5. "준비된 대통령" 조지 부시와 9.11 '동남풍'만 기다린 군수-석유자본 동맹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준비된 대통령" 조지 부시와 9.112004-08-30 오후 1:37:59IV. 다가오는 세계: 군사화, 인플레이션, 불황 5. "준비된 대통령" 조지 부시와 9.11 부시 대통령과 그 정권에 참여한 이런 저런 인물들 특히 '네오콘'이라고 불리는 일군의 인물들에 대한 각종의 비판과 폭로는 작년 이래 많이 이루어진 바 있다. 특히 한국의 웹 공간에서는 그들에 대한 각종의 비방과 저주-항상 옳고 근거있는 것은 아니다-가 거의 과잉으로 넘쳐나고 있기 때문에, 그에 대해서 다시 이야기하는 것을 불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글에서는 지금 논의하고 있는 최근의 세계 경제의 변화 경향의 메커니즘과 관련되는 측면에 한하여 닛잔과 비클러가 9.11까.. 2004. 9. 2. IV. 다가오는 세계 3-2 "군사-석유 자본 동맹의 '화려한' 부활"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부활, 그것은 우연이었을까?'2004-08-27 오전 10:06:52IV. 다가오는 세계: 군사화, 인플레이션, 불황 3. 1990년대: 군사-석유 자본 동맹과 기술-합병 자본 동맹 앞에서 나온 이야기를 잠깐 정리해본다. 1990년대에 지배적 자본 집단이 평균적 자본의 축적을 능가하는 차등화 축적의 방법으로 사용했던 것은 지구적 규모에서의 인수 합병이었다. 그런데 2000년 벽두로 들어오면서 그러한 인수 합병의 물결은 분명히 사그라지고 말았다. 그래서 지배적 자본 집단이 평균을 능가하는 실적을 올릴 방법이 모호해지고 말았다. 만약 이렇게 되어 이들의 자산 증가율도 평균적 자본의 수준으로 떨어지고 만다면 이는 그 지배적 자본 집단의 .. 2004. 8. 30.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