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서'에 해당되는 글 4건

  1. 2020.08.16 The Storytelling Animal
  2. 2017.08.28 Cryptonomicon
  3. 2016.10.31 The Edge of the World
  4. 2012.10.21 Transition

The Storytelling Animal

2020. 8. 16. 19:50 from Lectura

  • 2020.8, Jonathan Gottschall 지음

 

사람들이 이야기를 좋아한다는 사실은 너무나 분명하다. 사람들은 차가운 통계와 과학이 아닌, 맥락을 갖춘 이야기라는 틀을 통해 세상을 살아간다. 스스로의 삶에 대해서, 주변 사람에 대해서, 뉴스를 통해서 주인공과 드라마를 만들어 낸다.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의식주를 해결하는 시간을 제외하고 남는 대부분의 시간을 이야기에 몰입해서 보낸다. 소설, 드라마, 게임, 영화, 뮤지컬, 주변 사람에 대한 가십까지도 따져보면 모두 이야기이다. 

 

이야기는 단순히 남는 시간을 채우는 오락거리가 아니다. 그보다는 오히려 세상을 해석하는 틀이다.  다니엘 카네만의 ‘생각에 관한 생각(Thinking, Fast and Slow)는 우리 뇌가 사실보다는 픽션에 기반하여 일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우리 안에는 과학자와 소설가가 있는데, 대부분의 시간을 소설가로 보낸다. 이와 같은 호모 사피엔스의 이야기 중독은 어디에서 왔을까? 이런 습성은 과연 생존과 진화에 도움이 될까?

 

저자는 이 책에서 왜 우리가 이야기에 좋아하는지 가설을 제시한다. 몇 가지 증거를 통해 이야기가 단순한 현실 도피나 시간을 때우는 행위가 아닌, 복잡한 사회 관계를 잘 헤쳐나가기 위한 시뮬레이션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이론이 그것이다. 가치 있는 이야기는 주인공이 어려움을 만나 해결하는 형태를 하고 있다. 우리는 주인공의 여정을 통해 유사한 상황에서 각자가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지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 It seems plausible that our continuous immersion in fictional problem solving would improve our ability to deal with real problems.

  • In one study, they found that heavy fiction readers had better social skills — as measured by tests of social and empathic ability — than those who mainly read nonfiction.

  • Trouble is the fat red thread that ties together the fantasies of pretend play , fiction , and dreams , and trouble provides a possible clue to a function they all share : giving us practice in dealing with the big dilemmas of human life.

 

현실은 너무나 많은 사실들을 내포하고 있고, 우리는 그 모든 사실들을 종합적으로 받아들여 처리할 수 없다. 때문에 그중 일부를 선별하고, 이를 인과관계 혹은 그럴듯한 인과관계를 만들어낸다. 이렇게 만들어진 ‘가설'에 기초해서 과거를 해설하고 미래를 예측한다. 우리의 뇌가 동작하는 방식은 연역법도 귀납법도 아닌 상정 논법이다(abduction). 가끔은 이런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우리의 능력이 너무나 뛰어나, 과거의 기억을 왜곡하기도 하고 음모론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 The storytelling mind is allergic to uncertainty , randomness , and coincidence. It is addicted to meaning. If the storytelling mind cannot find meaningful patterns in the world , it will try to impose them. In short , the storytelling mind is a factory that churns out true stories when it can , but will manufacture lies when it can’t.

  • Conspiracy theories offer ultimate answers to a great mystery of the human condition : why are things so bad in the world?

 

이야기의 현실적인 가치는 사람들이 집단으로 일할 수 있게 해주는 실용적인 면에 있을 수 있다. 거대한 이야기가 없다면 우리들은 어떻게 그룹으로 함께 일하고, 회사를 이루고, 민족을 이루고, 나라를 이룰 수 있을까? 정치인들의 연설이 그처럼 중요한 이유, 철학자들의 시대정신이 그 처럼 큰 역할을 하는 것도, 모두 스토리를 추구하는 우리 종의 특징 때문일 수 있다. 어쩌면 동물과 인간을 구분 짓는 가장 큰 특징은 지능이 아니라, ‘이야기’ 일 수 있다. 뇌에서 과거와 미래 현실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할 수 있는 능력. 이 능력 덕분에 인류는 집단으로 움직일 수 있었고, 결국 그 이야기들이 오늘날의 문명까지 이어져 왔다.

  • David Sloan Wilson proposes that religion emerged as a stable part of all human societies for a simple reason : it made them work better.

  • Story, in other words, continues to fulfill its ancient function of binding society by reinforcing a set of common values and strengthening the ties of common culture.

 

우리가 인생의 의미라고 하는 것들도, 단지 자신에게만 일관된 이야기일 수 있다. 융도 정신분석가의 의무 중 하나로 인생의 의미를 되찾아 주는 것을 이야기했고, 때문에 종교와 신화를 참조하였다. 

  • Psychotherapy helps unhappy people set their life stories straight ; it literally gives them a story they can live with. And it works.

  • We are , in large part , our personal stories. And those stories are more truthy than true.

 

오늘날 우리는 소설의 몰락에 대해 이야기하는 우려의 목소리를 듣지만, 이야기는 다른 형태로 모양을 바꿔 우리 일상 곳곳에 스며있다. 오히려 문제는 지나치게 자극적인 이야기에 탐닉하는 것일 수 있다. 식량이 많아지면서 몸에는 좋지 않지만, 식욕을 자극하는 당 위주의 식사가 우리의 건강을 망치는 것처럼, 이야기를 즐길 시간이 많아진 현대인들은 이야기로써의 가치보다 자극적인 소재만으로 이루어진 Junk Story의 지나친 소비로 정신적인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삶의 의미에 대한 건전한 추구가 좌절된 현대인들은 인공적으로 급조된 양산형 이야기에 파묻혀 삶을 소비한다.

 

인생을 관통하는 만족할만한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가? 삶의 마지막 순간에 자신이 써 내려간 이야기에 만족할 수 있다면, 그게 바로  자신에게 가장 가치 있는 인생이 아닐까?

'Lectu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Male Brain  (0) 2020.09.03
Empty Planet  (0) 2020.08.30
룬샷  (0) 2020.07.16
세계는 어떻게 석유에 지배되는가?  (0) 2020.07.15
Psychoanalysis and Zen Buddism  (0) 2020.05.19
Posted by 중년하플링 :

Cryptonomicon

2017. 8. 28. 21:14 from Lectura



 - 2017.8.11, Neal Stephenson 지음


두 번째 완독. 예전 감상문을 찾아보니 2010년 7월에 처음 읽었다. 거의 7년만에 다시 읽은 책. 아직 읽지 않은 많은 책을 놔두고 같은 책을 두 번 읽은 이유가 무엇일까? 


굳이 따지자면 도전 의식을 일으키는 책이다. 소프트커버도 벽돌 같은 느낌이 든다. 거기에 빽빽한 폰트로 엄청나게 다양한 주제를 이야기하고 있다. 다양한 음식이 마련된 뷔페 같은 느낌. 아마도 한번 방문으로 차려진 음식을 모두 먹는 것이 어려웠던것 아닐까?


두 번째로 읽은 ‘크립토노미콘’은 처음 읽었을때에 비해서 훨씬 즐거운 경험이었다. 대략적인 스토리를 알고 나서 읽었기 때문인지, 다 읽기 위한 조급함 없이 작가의 장광설을 음미하면서 읽을 수 있었다. 인터넷에서 이 책을 ‘무게당 정보량이 가장 많은 책’으로 리뷰 한 내용을 찾았는데, 빈말이 아니지 싶다. 가볍지 않은 책 안에, 암호학, 수학, 컴퓨터, 보안, 하이쿠, 인터넷, 리눅스, 카드게임 등 온갖 주제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빼곡히 채워놨다. 그러면서도 각각의 기술적인 주제에 대한 밀도가 낮아지지 않는 보기드문 작품을 만들어 냈다. 


소설의 궁극적인 즐거움 중 하나는 현재를 벗어나서 다른 시대와 장소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가능성이다. 생생한 경험을 위한 소설적 장치로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강의를 보는 듯한 상세한 설명도 그 중에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나름의 일가를 이루고 있다. 책을 읽다가 모르는 단어/인명/개념을 찾기 위해 사전과 위키를 뒤적거리는 경우가 많았지만, 이런 경험들이 모두 독서와 연계해서 보다 생생한 이미지를 만드는데 도움이 되었다.   


기술에 대한 세부 묘사만 늘어놓았다면 이 책이 재미있을리가 없다. 주인공 중 한명은 해킹과 TRPG를 좋아하는 덕후필의 랜디라는 인물인데, 랜디 시점에서 사건이 진행될 경우에는 그야말로 geek스러운 관점에서 사건을 바라본다. 이게 상당히 재미있다. 요즘 나오는 빅뱅이론의 원조.


이렇게나 geek스러운 작품을 만들어낸 작가도 대단하지만, 이를 즐기는 미국 독자들도 대단하다 싶다.  

'Lectu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sider Phlebas  (0) 2017.09.17
유럽 문화사 1  (0) 2017.08.30
서던리치 3부작  (0) 2017.08.24
안드로메다 성운  (0) 2017.08.05
로마제국쇠망사 1권  (0) 2017.07.19
Posted by 중년하플링 :

The Edge of the World

2016. 10. 31. 02:54 from Lectura



- 2016.10, Michael Pye

유럽의 변방으로 취급되었던, 북유럽의 중세 역사를 조명하는 책.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북해지역이 유럽의 형성에 미친 영향들을 설명해준다. 중세시대 Frisian 이라는 북해지역에 살았던 민족에 대한 소개를 시작으로, 돈의 발명, 책의 거래, 바이킹, 도시의 생성, 신분을 벗어난 패션의 유행, 세속적인 법률의 재발견과 합리적 사고의 발전, 늪지대를 개척하여 경작지를 늘린 네덜란드의 발전, 도시의 생성 등의 주제를 설명한다. 

한국과는 관련이 적은 지역이라서 그 동안 접해보지 못했던 역사를 접할 수 있는 독서였다. 이탈리아와 지중해를 중심으로 한 남부 유럽과 프랑스와 독일의 중부유럽에 대해서는 그래도 어느 정도 익숙한데, 중세시대로부터 시작되는 네덜란드, 독일북부, 폴란드 북부등의 지역에 대한 역사는 꽤나 생소한 내용이다. 또한 역사서술의 중심을 왕과 왕조가 아닌 그 지역에서 살았던 개개인의 삶을 통해서 보여주기 때문에 보다 생생한 역사서술을 접할 수 있었다.  

 “Consider Charlemagne’s habits and you see the Vikings not as an assault but as another set of players in the same very violent game. Norsemen demanded tribute; Charlemagne demanded not just tribute but also tithes for the Church that was so closely allied with his power."
 “Legends of conversion are shining things, full of brave martyrs, furiously convincing preachers, truth triumphing. The actual business of conversion was exceedingly muddy: sometimes brutal, sometimes shallow, sometimes expensive and it never had much to do with hearts and minds.” 
              - 3. Making enemies

 “Clothes defined hime, and he chooses how he wants to be defined: which is the essence of fashion, which means changing the way you dress just because you want to; and also means having a shrewd idea of what your time and place require so you can be defiant."
 “law about fashion were meant to adjust people’s souls as well as their pockets and their wardrobes, and make them better persons. They would obviously be better if they knew their place."
              - 5. Fashion

네덜란드의 습지를 개간하여 농경지로 바꾸기 위해서 사용된 관계기술들은 결국 네덜란드의 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A seemingly simple activity, the digging of peat, changed a culture, redefined how the world thought of a people, changed the way money makes things happen, remade a whole landscape and turned peasant farmers into men with international connections, at least in the eel and butter trades. There never was a truly simple change."
                                                                                                                        - 7. Overseeing nature

 중세 프란치스코 수도회의 로저 베이컨으로부터 시작된 과학 혁명에 대한 이야기도 재미있다. 예전부터 수도승인 사람이 어떻게 과학적인 사고방식의 시초가 되었는지 궁금해했던 적이 있는데, 책에 따르면 베이컨은 과학적 방법론을 통해 동방으로부터 다가오는 몽골족의 마법에 대항 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다고 한다. 

 “He proposed them all against the coming of the Antichrist, the darkest magician of them all(Mongols를 의미함). He was absolutely sure that science was now an urgent matter."
 “Although we do not clearly understand these marvels in the world, or others greater still,’ the author of the History says, ‘they are not therefore the be taken as omens or reckoned portents foreboding the deluge.’"
                                                                                                                        - 8. Science and money

역사시간에 배웠지만, 도대체 그 정체가 묘했던 Hansa에 대해서 구체적인 사실들을 알 수 이었다. Hansa는 국가도 아니고, 왕조도 아닌, 오직 상업적 이해만을 목표로 뭉쳐진 상인도시들의 연합이었다. 하지만, 상업활동을 보장 받기 위해 때때로 국가를 위협하기도 하고, 국가와 협상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가장 신비로운 부분은 그들의 조직은 비교적 느슨한 클럽에 가깝게 운영되었다는 점이다. 그렇게 오랫동안 유럽의 역사에서 큰 역할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전체를 관리하는 조직이나, 공통의 자산, 룰 등이 없었다. 

 “The divisions in Lübeck help explain why Hansa men were oddly reluctant to say exactly what a Hansa was, or who belonged to it; a bit of doubt kept things together. It was a corporate kind of power which liked its privacy."
 “The Hansa stood outside all that. It was a cartel of towns in the north, mostly on the Baltic, all more or less German-speaking, which banded together to keep their ships safe, make sure they were well treated in foreign ports, and get as close as they could to the perfect state of traders: monopoly"
                                                                                                                        - 9. Dealers rule

 “Plague, on the other hand, takes anyone and everyone, a true shock to elites who fancied themselves protected by law, by strong walls, by money and other people’s obligations"
                                                                                                                        - 10. The plague laws

다음은 안트워프에서 발생한 신교와 구교의 갈등으로 인한 Beeldenstorm을 묘사한 부분이다. 
 “At the end of the night nobody was hurt. Nothing was stolen. A few works of art did survive. But everything else was broken, not just the magnificience of the cathedral but the possibility of any civic peace between factions"
                                                                                                                        - 12. The city and the world


목차
  1. The invention of money
  2. The book trade
  3. Making enemies
  4. Settling
  5. Fashion
  6. Writing the law
  7. Overseeing nature
  8. Science and money
  9. Dealers rule
  10. Love and capital
  11. The plague laws
  12. The city and the world


'Lectu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리의 노래  (0) 2017.01.16
깨달음과 역사  (0) 2016.10.31
왜 우리는 집단에서 바보가 되었는가  (0) 2016.10.17
항설백물어  (0) 2016.10.16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  (0) 2016.07.31
Posted by 중년하플링 :

Transition

2012. 10. 21. 16:57 from Lectura




- 2012.7, Iain M. Banks


세상은 우리가 알고 있는 ‘이 세상' 이 전부가 아니다. 우리가 상상할 수 있는 범위까지 다양한 버전의 세상이 존재한다. 이 다양한 세상들 사이를 마음대로 이동할 수 있는 사람들을 transitionor 라고 부른다. 그들은 septus라는 약물을 사용하여 무한대의 multiverse 사이를 오고간다. 그들을 관리하는 조직은 Concern이라고 부르고 여기에는 실질적으로 무제한의 권력을 가진 Madame d’Ortolan 이라는 여자가 있다. 그녀는 자신의 권력에 대항하는 자를 찾아 제거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경주한다. 반란자 중 가장 심각한 위험은 Mrs Mulverhill 이다. 그리고... transitionor 중에 뛰어난 잠재력을 가진 자가 있으니 Temujin Oh. 그 외에 Adrian이라는 헤지펀드 매니저, 의문의 patient 8262, The Philosopher라는 별명으로 불리우는 고문 기술자 Mr Kleist 등의 등장인물이 있다. 


멀티버스와 그 세계 사이를 오고가는 존재, 그리고 유일한 open world인 Calbefraques 등의 설정이 젤라즈니의 엠버 시리즈를 연상시킨다. 하지만,  뱅크스의 작품이 자주 그러하듯 난해한 이야기이다. 플롯과 액션이 있기는 한데, 끝까지 읽어봐도 속시원한 해답을 주지 않는다. 


이야기의 전반적인 기조로 흐르는 것은 solipsism. 즉, 유아론이다. 오로지 나만 실제하고 나머지 외부는 내가 만들어낸 환상이라는 관념. 멀티버스와 이를 오가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이므로 어쩌면 당연한 것일 수도 있겠지만, 뱅크스는 한 인간의 유아론이 아니라 전 인류차원의 유아론으로 스케일을 키워 버린다. 결말 부분에 밝혀지는 비밀 중에 하나는 Concern이 막아내고자 하는 것은 바로 외계인이 포함된 우주의 등장이라는 것. 오직 인간이 중심인 멀티버스라는 비유를 통해 현재의 나만을 시야에 두고 살아가는 우리를 이야기한 것일까? 


한번은 더 읽어야 생각이 정리될만한 이야기이다. 일단은 여기까지..

'Lectu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Marriage of Sticks  (0) 2012.12.24
카운트 제로  (0) 2012.12.02
[책읽고정리하기] 공감의 시대  (0) 2012.06.14
[책읽고정리하기] 해변의 카프카  (0) 2012.05.18
[책읽고정리하기] 시빌라이제이션  (0) 2012.04.11
Posted by 중년하플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