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좌파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기28

IV. 다가오는 세계3 "인플레이션, 누가 이익을 보고 누가 일으키는가?"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인플레이션과 사회적 위기'2004-08-25 오후 5:35:59IV. 다가오는 세계: 군사화, 인플레이션, 불황 3. 인플레이션과 사회적 위기 인플레이션과 경제 성장 인플레이션에 관하여 경제학 교과서까지 뒤질 것도 없이 아예 거의 모든 사람들에게 만유인력의 법칙 만큼이나 굳어져 있는 통념이 있다. 그것은 "인플레이션은 경제 성장과 경기 과열과 함께 나타나는 현상이며, 성장 부진과 경기 침체는 물가 하락과 함께 나타나는 현상이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고방식도 실로 그 유래가 깊은 것이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입증하는 논리는 20세기의 케인스 경제학에서 성립하였다. 소비, 투자, 재정 지출 등이 증가하여 '총수요' 곡선이 오른쪽.. 2004. 8. 26.
IV. 다가오는 세계② "인플레이션을 통한 자본 축적의 비밀"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인플레이션'이라는 마술2004-08-23 오전 11:21:25IV. 다가오는 세계: 군사화, 인플레이션, 불황 ② 인플레이션이라는 마술 앞 장에서 우리는 "인수 합병을 통한 차등적 축적이 여의치 않을 경우 지배적 자본 집단은 인플레이션을 통한 차등적 축적을 꾀한다"는 가능성을 이야기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주장은 인플레이션이 지배적 자본 집단과 일반 자본, 그리고 자본과 노동 사이에 커다란 재분배 효과를 가진다는 주장이 되므로, 인플레이션이 실물 경제에 영향을 주지 않는 '중립적' 현상이라는 위의 주장과는 정면으로 대립된다. 과연 어느 쪽이 옳을까. 양쪽의 주장과 논리를 들어보면 다 그럴듯하다 아니할 수 없다. 결국 실제로 어떠했는지를 .. 2004. 8. 24.
IV. 다가오는 세계① "21세기 벽두, 도래한 디플레이션 위기"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파국의 조짐과 '인플레이션 동맹'2004-08-11 오후 4:32:50IV. 다가오는 세계: 군사화, 인플레이션, 불황 ① 지배적 자본 집단과 세계 경제의 위기 앞에서 보았듯이, 21세기의 벽두는 1990년대를 풍미했던 '역사의 완성'과 지구화라는 낙관주의의 거품 너머 뒤숭숭하고 불길한 조짐들로 시작되었다. 그 불길한 조짐은 지배적 자본 집단의 차등화 축적 그리고 세계 자본주의 전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차등화 축적 차원의 위기: 인수 합병 붐의 종언 앞에서 보았듯이, 닛잔/비클러 이론의 핵심은 자본주의의 주된 추동력은 지배적 자본 집단(dominant capital)의 차등화 축적(differential accum.. 2004. 8. 24.
III. 어제의 세계: 지구화, 인수 합병, 신자유주의 ⑥ 90년대의 끝 : GE/허니웰 합병의 좌절과 그 의의 "90년대의 확실한 종언, 부시와 유럽의 결별"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GE-허니웰 합병의 좌절과 그 의의2004-07-26 오전 9:45:58III. 어제의 세계: 지구화, 인수 합병, 신자유주의 ⑥ 90년대의 끝 : GE/허니웰 합병의 좌절과 그 의의 90년대 지구화의 전제 조건과 위기 이전의 연재분에서 살펴보았지만, 닛잔/비클러는 인수 합병을 주된 방법으로 삼는 이러한 ‘넓이 지향’ 축적 양식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다고 본다. 인수 합병이 진행됨에 따라, 경제 영역 안팎의 권력의 배분이 근본적으로 바뀌며 또한 사회적 조건의 창출 또한 일정한 한계에 부딪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를 그들은 ‘울타리(envelop)’라고 부른다①. 클린턴 행정부의 달러-월스트리트 레짐과 워싱턴 컨센서스를 앞세운 이.. 2004. 8. 24.
<권력자본론> 서평에 답하며 "'권력'은 어떻게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되는가"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서평에 답하며2004-08-05 오후 2:37:13지난 7월24일 에 실린 (심숀 비클러ㆍ조나단 닛잔. 홍기빈 옮김, 삼인, 2004)에 대한 박승호 박사의 서평은 책의 논지와 내용을 충실하고 깊이있게 추적한 글이었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진지하고 성실한 서평을 읽게되는 것이야말로 책을 준비한 사람들에게 그 동안의 피로를 잊게 하는 가장 큰 보상임은 말할 것도 없다. 이 서평에 대해 전해 들은 저자들은 물론, 책의 번역자인 필자도 박승호 박사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사회적 권력'이야말로 '자본'과 '이윤'의 근원" 서평 후반에는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인 서평자의 입장에서 에 대한 비판이 개진되고 있다. 논지를 추리자면, 첫째.. 2004. 8. 24.
III. 어제의 세계 : 지구화, 인수 합병, 신자유주의 ⑤ 인수 합병 축적 양식의 사회적 조건과 한계 "역사가 끝나"고 "문명이 충돌"할 때 미국이 한 일은?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미정부-월가-헤지펀드 네트워크의 탄생2004-07-21 오후 6:18:04III. 어제의 세계 : 지구화, 인수 합병, 신자유주의 ⑤ 인수 합병 축적 양식의 사회적 조건과 한계 클린턴 시대의 달러-월 스트리트 레짐 그런데 여기서 꼭 기억하고 넘어가야 할 점은, 이렇게 코스모폴리탄적인 외양을 취한 90년대 신자유주의 지구화가 미국이라는 일국의 국익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라는 점이다. '공식적 담론'만이 진실이라고 믿는 '모범 시민'이라면 90년대의 워싱턴 컨센서스의 주장 그리고 그에 따라 변해가는 지구촌의 실제 세계가 아마도 "기술 진보와 인류 이성의 발전에 따른 역사의 불가항력"처럼 보였을 것이다. 그는 깨자마자 커피.. 2004. 8. 24.
III. 어제의 세계 : 지구화, 인수 합병, 신자유주의 ⑤ 인수 합병 축적 양식의 사회적 조건과 한계 "누가 우리를 막을 수 있겠는가?"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상품화'에 대한 맹신과 '워싱턴 컨센서스' 2004-07-19 오전 9:49:14III. 어제의 세계 : 지구화, 인수 합병, 신자유주의 ⑤ 인수 합병 축적 양식의 사회적 조건과 한계 앞에서 보았듯, 세계적인 '지배적 자본'에 있어서 90년대의 주요한 자본 축적 양식은 지구적 규모에서의 대규모 인수 합병이었다는 것이 닛잔/비클러의 진단이다. 그런데 이러한 '넓이 지향' 양식으로의 자본 축적이 벌어지려면 어떠한 사회적 조건이 창출되어야 하는 지에 대해서 잠깐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자본이란 기본적으로 '사회적 관계의 총체'라는 칼 마르크스의 통찰은 근대 경제학자들이 간과하고 있는 중차대한 핵심을 찌르고 있다. '경제'란 사회적 관계와 동떨.. 2004. 8. 24.
III. 어제의 세계 ④ 세계적 자본축적과 지구정치경제의 향방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III. 어제의 세계 ④ 2003-09-05 오전 9:14:13III. 어제의 세계: 지구화, 인수 합병, 신자유주의 ④ 지구화와 인수 합병 앞 절에서 본 바, 기업 융합(corporate amalgamation)은 기업의 차등화 축적에 있어서 가장 주요한 방법이 될 수 밖에 없는 듯 하다. 기업의 이윤은 주류 경제학 이론이 주장하듯이 “생산성의 증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베블렌이 주장하듯이 “생산성을 제약”하여 시장을 지배할 수 있는 권력인 “소유권”에 근거하는 것이라면 말이다. 기업 행동의 주요한 목적이 다른 기업들과의 경쟁 속에서 사회 내에서 그러한 권력의 크기를 최대한 많이 확보하는 것이라면 더욱 그러하다. 기업 융합은 다른.. 2004. 8. 24.
'지구 정치경제의 향방' 연재를 속개하며 쿼 바디스(Quo Vadis), 세계는 어디로 가는가?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지구 정치경제의 향방' 연재를 속개하며2004-07-15 오전 9:05:28작년에 연재하다가 중단된 "세계적 자본 축적과 지구 정치 경제의 향방"을 계속 연재하기로 한다. 이 연재를 시작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는 물론 그 당시 막 시작되고 있었던 미국의 이라크 침략에 있었다. 이 전쟁이 아무런 명분도 정당성도 없는 세계 초강대국의 일방적 폭력이었음은 지금은 명백하게 밝혀진 바 있고 이미 그 당시에도 수많은 이들이 지적했던 바이다. 하지만 이 연재를 시작했던 것은 그렇게 거의 과잉으로 차고 넘치던 도덕적 비판에 또 한마디를 덧붙이고자 했던 것은 아니었다. 필자가 보기에 이 전쟁은 약간 멀리 떨어져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좀더.. 2004.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