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좌파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기28

III. 어제의 세계 ③ 세계적 자본축적과 지구정치경제의 향방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III. 어제의 세계 ③ 2003-08-20 오후 3:59:56III. 어제의 세계: 지구화, 인수 합병, 신자유주의 ③ 인수합병은 왜 벌어지는가 현대 문명과 거기에 살고 있는 우리들은 모두 “크기”에 지독한 집착을 보인다. 크기의 측량이 가능한 사물이나 대상이 있으면 그 질을 항상 크기로 측량하는 것이다. 큰게 좋은가 작은 게 좋은가? 그 대상의 성격에 따라 반대다. 집은 클 수록 좋고 전자 계산기와 노트북 컴퓨터는 작을 수록 좋다. 성적 대상으로 바라본 남녀 신체의 경우 특정 부위는 클 수록 좋고 또 다른 부위는 작을 수록 좋다고 생각하여 각종 확대와 축소의 비기가 등장한다. 대대익선이냐 소소익선이냐는 차이만 있을 뿐이지 크기에 대한 .. 2004. 8. 24.
III. 어제의 세계: 지구화, 인수 합병, 신자유주의 ① 준비 운동 2: 30분에 읽는 지구적 자본주의의 역사 세계적 자본축적과 지구정치경제의 향방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III. 어제의 세계① 2003-06-27 오전 11:42:47III. 어제의 세계: 지구화, 인수 합병, 신자유주의 ① 준비 운동 2: 30분에 읽는 지구적 자본주의의 역사 저번 글에서 우리는 국내와 국제, 정치와 경제라는 두 개의 이분법을 넘어서 우리의 미시적인 일상에서 구조 변형과 자본 축적 같은 거시적 현상까지를 하나의 틀에서 보는 “지구 정치 경제”라는 방법을 30분 만에 읽은 바 있다. 이번엔 좀 더 어처구니 없는 짓 즉, 19세기 이래 나타난 지구적 자본주의 정치 경제의 역사를 30분만에 훑어보는 일에 도전해보자. 1. 19세기 고전적 자유주의 지구 정치 경제 “최초의 자본주의 국가” 영국의 지도하에 전 세계는 19세기 초 이.. 2004. 8. 24.
III. 어제의 세계② 세계적 자본축적과 지구정치경제의 향방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III. 어제의 세계② 2003-07-29 오후 6:07:24III. 어제의 세계: 지구화, 인수 합병, 신자유주의 ② 차등화 축적: 넓이 지향과 깊이 지향 닛잔/비클러 이론의 가장 핵심적 개념은, 자본축적에 대한 그들의 독특한 접근 즉 “차등화 축적 이론(theory of differential accumulation)”이라고 할 수 있다. 1. 권력으로서의 자본: 왜 “자본 축적”이 중요한가 독자들 가운데 “어째서 우리가 굳이 자본축적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가지는 분이 있을 수 있다. 이 자본축적의 문제를 처음으로 사회과학의 핵심 질문으로 등장시킨 이들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이다. 그래서 이 말은 보통 착취, 사회 정의, 노.. 2004. 8. 24.
III. 어제의 세계: 지구화, 인수 합병, 신자유주의 ① 세계적 자본축적과 지구정치경제의 향방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III. 어제의 세계: 지구화, 인수 합병, 신자유주의 ① 2003-06-16 오후 5:41:15III. 어제의 세계: 지구화, 인수 합병, 신자유주의 ① 준비 운동1: 왜 “지구 정치 경제”인가 지금까지의 이야기에서 학교에서 또 공식적인 매체에서 가르치는 것처럼 세계 경제가 투명하고 평화적인 것일까라는 의심이 생기지 않을 수 없다. 그래도 혹자는 중동의 에너지 위기와 군사 분쟁은 그 엄청난 숫자의 달러와 인명에도 불구하고 “일개” 사건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러한 “일화”를 근거로 하여 지구 정치 경제 전체의 성격에 대해 일반화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할 지 모른다. 그렇다면 이제 시야를 좀 더 큰 차원으로 돌려 그 지구 정치 경제의 “구조.. 2004. 8. 24.
Ⅱ. 보데의 법칙? ④ 세계적 자본축적과 지구정치경제의 향방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Ⅱ. 보데의 법칙? ④ 2003-05-28 오전 8:48:29II. 보데의 법칙? :무기-석유 연합의 “차등적” 이윤율과 중동의 분쟁 ④ 분쟁 발생의 ‘보데의 법칙’ 베트남 전쟁을 야기시킨 소위 ‘통킹만 사건’은 사건 당시에 이미 북베트남의 도발이 아닌 미국의 자작극이라는 소문이 무성했으나, 실제 그것이 밝혀진 것은 수십년 후 정부 문서의 보안이 해제된 후에나 가능했다고 한다. 군수 ? 석유 자본 동맹과 중동의 분쟁 사이에 인과 관계라는 것이 정말 있다면 이는 통킹만 사건 정도보다 훨씬 더 밑바닥에 숨어있는 종류의 일일 것이다. 따라서 증빙없는 ‘음모 이론’을 넘어 이를 ‘논증’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그런데 닛잔/비클러는.. 2004. 8. 24.
Ⅱ. 보데의 법칙? ②-2 세계 석유 자본 세계적 자본축적과 지구정치경제의 향방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Ⅱ. 보데의 법칙? ②-2 세계 석유 자본2003-05-09 오전 9:14:17II. 보데의 법칙? : 무기-석유 연합의 “차등적” 이윤율과 중동의 분쟁 ② 세계 석유 자본 3. OPEC, 석유 자본 핵심, 미국 (1, 2절은 번 연재기사에 있습니다. 편집자주.) 여기서 잠깐 통상적 관념에 대해 재고해볼 것이 있다. 석유 자본 핵심과 이익이 상충되는 집단은 소액의 로열티에 만족치 않고 민족주의와 반 서구 정서에 기대어 호시탐탐 유전 국유화를 노리는 산유국가들이다. 70년대 이전의 안정된 소위 팍스 아메리카나(Pax Americana)에서는 석유 자본 핵심이 그들을 안정적으로 제압할 수 있는 호시절이었다. 하지만 70년대 이후 제 3세계의 .. 2004. 8. 24.
Ⅱ. 보데의 법칙? ③ 세계적 자본축적과 지구정치경제의 향방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Ⅱ. 보데의 법칙? ③ 2003-05-20 오전 9:50:46II. 보데의 법칙? :무기-석유 연합의 “차등적” 이윤율과 중동의 분쟁 ③ 중동에서의 군수자본과 석유자본의 이익 지난 몇 회에 걸쳐 우리는 닛잔/비클러 이론을 통하여 미국의 군수자본 핵심과 석유자본 핵심이 각각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가, 또 그들이 중동이라는 지역에서 같은 이익을 공유하여 동맹을 결성할 개연성을 살펴보았다. 다시 한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무기 수출을 원하는 미국의 군수 자본과 유가 인상을 통한 이윤 확대를 원하는 석유 자본, 그리고 중동 특수를 얻고자 하는 엔지니어링 건설회사, 오일 달러를 유치하는 미국의 금융 기관 등이 유착하여 미국의 외교 정책에 강한.. 2004. 8. 24.
Ⅱ. 보데의 법칙? ② 세계 석유 자본 세계적 자본축적과 지구정치경제의 향방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Ⅱ. 보데의 법칙? ② 세계 석유 자본2003-05-02 오전 10:09:38II. 보데의 법칙? : 무기-석유 연합의 “차등적” 이윤율과 중동의 분쟁 ② 세계 석유 자본 세계 석유 자본의 핵심 기업들을 집어내는 것은 그다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세계 석유 시장은 이미 20세기 초부터 저 유명한 “칠공주(The Seven Sisters)”의 이름으로 불려온 초국적 기업 일곱 개가 좌지우지해온 것이 주지의 사실이기 때문이다. 이 일곱개의 기업은, 미국의 Chevron(원래 Socal 즉 Standard Oil of California), Gulf(1985년 Chevron으로 병합), Texaco(2001년 Chevron으로 병합), Exxo.. 2004. 8. 24.
Ⅱ. 보데의 법칙? ① 미국 군수 자본 세계적 자본축적과 지구정치경제의 향방 홍기빈의 '현미경과 망원경' Ⅱ. 보데의 법칙? ① 미국 군수 자본2003-04-11 오후 1:58:23II. 보데의 법칙? : 무기-석유 연합의 “차등적” 이윤율과 중동의 분쟁 ① 미국 군수 자본 미국은 이라크 전쟁에서 승승장구 하고 있는 듯 하다. 하지만 이 전쟁의 진짜 이유가 미국 군수 자본과 석유 자본의 이익이라는 많은 사람들의 의혹은 쉽사리 풀릴 것 같지 않다. 이라크 전에서 나오는 “장물”을 둘러싸고 딕 체니 부통령 이하 워싱턴 인맥에 줄을 댄 이런저런 군수 석유 자본들의 활극이 펼쳐지고 있는 것이 빤히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군수 ? 석유 자본 동맹이라는 용어 자체는 비판적 지식인들과 언론에 숱하게 회자되고는 있지만 구체적으로 무엇을 지시하는지와 어.. 2004. 8.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