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ctura210 [책읽고정리하기] 주류경제학은 거대한 음모다 - 권력 자본론 책제목: 권력 자본론저자: 심숀 비클러, 조나단 닛잔/홍기빈 역고등학교 때 배웠던 수요곡선, 공급곡선, 평행 상태 등에 대해서 의문을 가져본적이 없는가? 왜 그 잘났다는 경제학자들은 길지도 않은 1년 앞도 내다보지 못할까? 그 휘황찬란한 수식과 멋진 이론들로는 현실에서 유용하지 않은 것일까 하는 의문을 가져본적이 있는가?그렇다면 이 책을 읽어봐야 한다. 이 책은 기존 주류경제학자들이 주장하는 이론들이 기실 과학적인 방법론에 입각한 '법칙' 이 아니라 하나의 '우화' 혹은 '이데올로기'에 불과하다는 충격적인 이야기를 들려준다. 사실 이것은 '폴 크루그만' 과 같은 주류경제학자도 어느정도 인정하고 있는 이야기이다. 즉 경제학은 '과학'이 아니라는 사실! 그렇다면... 만일 경제학이 과학이 아니라면 도대체 뭐.. 2004. 12. 24. [책읽고정리하기]로마제국쇠망사(축약본) 그 유명한 기번의 '로마제국쇠망사,대광서림'를 일본인(Genki Nakakura라는 이름을 볼때 아마도)이 요약한 책을 읽었다. 개인적인 편견인데, 몇몇 을 빼고, 웬지 일본인 작가들이 쓴 책은 피상적이고 깊이가 없다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주로 처세술 관련된 책들에 일본인 작가 이름이 많이 올라서 그런 모양이다.여하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책을 집어든 이유는 구할 수 있는 축약본의 선택 여지가 넓지 않았고, 장정이 잘되어있고 책 디자인이 마음에 들어서 였다. 사실 더 눈에 익은 것은 까치글방에서 나온 발췌번역판이지만, 구하기도 쉽지 않고 조판이 너무 옛날식이어서 솔직히 읽을 마음이 들지 않는다. 대광서림이라는 출판사 명은 생소했지만, 여하튼 겉모습에 끌려서 선택했는데, 지금 보니 이 출판사에서 로마제국.. 2004. 10. 21. [책읽고정리하기] 근대세계체제1 잘사는 나라는 왜 잘살고 못사는 나라는 왜 못살까? 이 의문때문에 나는 거시경제학에 관심을 갖고 추천 텍스트북까지 읽어보았지만, 결론적으로 현재의 경제학에서는 이 답을 찾지 못했다는 고백만을 들어야 했다. 현재 거시경제학에서는 이 문제를 발전된 국가들의 자본축척 속도의 차이나 인적자원의 우수함 등의 복잡한 이론으로 설명하려하지만, 현실 데이타와 일치하는 이론 체계를 성립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홍기빈씨도 주장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문제는 분석단위를 국가로 한정짓고 국가 내부적인 요인들의 차이점만을 찾으려고 하는 만일 똑같은 주제를 우리나라에 대입시켜 서울과 지방의 발전이 이렇게 크게 차이나는 것의 원인을 각 지역 내부적인 요인으로만 분석하려고 든다면 어떤 결론이 도출될까?이마뉴엘 월러스틴은 먼저 자.. 2004. 10. 11. 이전 1 ··· 21 22 23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