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이야기들33 조직이나 국가의 흥망성쇠는 무엇때문인가? 윈텔 제국의 쇠락 혹은 멸망Michael Kanellos (ZDNet Korea) 2004/08/06 원문보기 "일어나 보니 부자가 됐지만 혼란스럽다?" 한 애널리스트가 MS의 고질적인 제품지연을 두고 한 말이다. 이런 상황은 인텔도 마찬가지다. 두 회사 직원들은 지난 날 엄청난 성공과 불확실한 미래 사이에서 무척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 윈도우 담당자라고 상상해보자. 어느 날 일어나보니 애널리스트와 경쟁사들은 리눅스가 데스크톱 영역을 잠식할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동시에 리눅스를 장착한 데스크톱은 수년 안에는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도 한다. 연봉은 대학시절 꿈꿔온 이상으로 받고 있지만 회사에서 승진하거나 더 좋은 보직으로 이동할 가능성은 보이지 않는다. ‘이 골치 아픈 문제에 도전해 볼까? 아냐, 그냥 .. 2004. 8. 9. 부동산 투자, 어떻게 할 것인가 부동산 투자, 어떻게 할 것인가 (확대) 등록 : 최용식(seop2) 조회 : 419 점수 : 106 날짜 : 2004년 07월 29일 (14시 37분) 부동산 시장을 한바탕 휘저어 놓았던 투기의 태풍이 이제는 지나간 듯 하다. 태풍의 핵을 이뤘던 아파트의 가격이 안정을 되찾았을 뿐만 아니라, 새로 지은 아파트마저 미분양 물량이 나날이 쌓이고 있다고 언론은 전한다. 그렇다면 부동산 시장은 다시 긴 잠에 빠져들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해야 할 것 같다. 일반적으로, 부동산 경기는 10년을 주기로 반복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과거를 되돌아보면,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후반에 부동산 투기바람이 불었었다. 이번에는 10년이 조금 더 걸렸지만, 5년여 전에 외환위기를 당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에도 .. 2004. 7. 30. 이문열의 사부곡, 끝나지 않은 노래 이문열의 사부곡, 끝나지 않은 노래 퀸의 보헤미안 랩소디 이 글을 읽기 전에 해두셔야할 일. 퀸의 '보헤미안 랩소디'를 틀으십시오. 자동 되감기를 선택해서 되풀이 듣고 또 들으며 이문열의 아슬아슬한 정신세계를 함께 돌아보시죠. 선택이 아니라 필수 옵션입니다. 이문열이 누구인가. 역작 에서 절대 존재에 대한 진지한 문학적 논구와 세련된 문체로 국내 문단에 혜성처럼 등장한 이후 지금까지 물경 천만권 이상의 책을 팔아치운 이 시대 최고의 베스트셀러 소설가이다. 문단에서는 공공연한 비밀이지만 그는 사재를 털어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소설가에게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었)다(국가에서도 하지 못하는 가난한 문인 구제를 그가 하고 있(었)다). 그 금액은 여러분의 상상을 가볍게 넘어선다. 사숙을 만들어 싹이 파릇한 예비.. 2004. 7. 29. 여가 문화의 부재, 무엇인 문제인가? 휴테크 성공학 1 여가 문화의 부재, 무엇인 문제인가? - 단절된 소통, 그리고 폭탄주와 독수리 5형제 증후군 현대인들의 공통점 가운데 하나는 바쁘다는 것이다. 뒤돌아볼 여유 없이 앞만 보고 달려간다. 최첨단 정보통신 기술이 등장했다지만 정작 사회구성원들 사이엔 커뮤니케이션이 단절돼 있다. 21세기 창의적인 사고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전제 조건은 바로 ‘쉼(休)’이다. 국내 최초의 여가학(餘暇學) 전문가인 명지대 김정운 교수의 저서 《휴테크 성공학》을 통해 여가문화와 휴식의 필요성을 짚어본다. 쉬면서 일하시길! (편집자) “어떻게 노는 게 잘 노는 겁니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혼자 놀아도 너무 재미있어서 심심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이 대답에 고개를 끄덕이며 공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대부분의.. 2004. 7. 22. IT 엔지니어를 위한「세일즈 스킬 강좌」 IT 엔지니어를 위한「세일즈 스킬 강좌」IT 엔지니어로서 마케팅 능력이 없는 상황을 가정해 보자. 관건은 여러분이 가진 솔루션을 어떻게 고객에게 전달하는가이다. 다시 말하면 어떻게 여러분이 가진 솔루션을 기존의 시장 경쟁자들의 솔루션과 차별화를 시키는가이다. 강두영 (세일즈랩) 참여 2004/07/13 사실 비즈니스맨으로써 비즈니스 기술들을 배우지 않아도 성공하는 사람은 많다. 예를 들어 현대를 창업했던 정주영 회장이나 비즈니스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추앙을 받는 마쓰시다 전기 창업자인 마쓰시다 고노스케 회장의 경우도 가난해서 배우지 못했지만 비즈니스에서 커다란 성공을 이룬 사람들이다. 이 사람들의 특징은 가르쳐주는 사람이 없어도 자신이 스스로 깨우쳐서 비즈니스 기술을 자신의 것으로 만든 것이다(물론 천부.. 2004. 7. 14. 유럽, 근로시간 단축제 재검토: '여가형'에서 다시 '근로형'으로? 유럽, 근로시간 단축제 재검토: '여가형'에서 다시 '근로형'으로? [편집자 註] 7월 1일을 기점으로 한국도 주5일 근무제의 본격시행에 들어갔다. 일각에서는 '근로형'중심의 사회가 '여가형'사회로 접어드는 계기가 되었다며 삶의 질 향상을 둘러싼 여러 가지 담론이 오고가고 있다. 그러나 한국보다 훨씬 앞서 주5일 근무제를 실시하며 근로시간을 과감하게 단축한 독일이나 프랑스는 경쟁력 약화와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등을 들어 해당제도에 대한 재검토 방안을 심각하게 추진 중이다. 한국보다 훨씬 앞서 주5일 근무제 및 근로시간 단축제를 실시한 유럽이 해당제도에 대한 심각한 재검토작업에 들어갔다. 프랑스나 독일 등 일부 선진유럽국의 경우 주당 35근무시간제를 도입하며 실업률 해소 및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 등.. 2004. 7. 13.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