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경제학'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8.06.20 Thinking, Fast and Slow

Thinking, Fast and Slow

2018. 6. 20. 15:52 from Lectura

  • 2018. 6, Daniel Khaneman

우리는 스스로를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사고기계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인지 불합리한 행동을 보이는 다른 사람들의 사례는 쉽게 눈에 뜨인다. 왜 나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데, 다른 사람들은 저렇게도 감정적이고 비이성적일까? 이 책은 인간행동의 배후에 있는 비합리성에 대한 설명이자, 우리의 사고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설명하는 메뉴얼이다. 

저자에 따르면 우리에게는 두 가지 사고 방식이 있다. 이성적이고 합리적으로 생각하는 사고 방식을‘System 2'라고 한다. 이에 반해 진화의 과정에서 훨씬 오래된 사고 방식이 있는데, 이를 ‘System 1’이라고 하자. System 1은 일반적인 상황을 다루며, 리스크나 일반적이지 않은 상황이 발생하는지를 감지한다. 더 고민해야 할 상황이 생기면 그때 System 2가 호출된다. System 1은 가능하면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면서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고, 필요하면 System 2를 호출하는 역할을 한다. Associative memory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System 1은 주어진 사실을 바탕으로 인과관계를 만들어내는 전문가이다. 그래서 종종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그럴듯한 인과관계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때문에 우리는 늘 스스로가 합리적이라는 ‘착각’속에 살아간다.  

  • When we think of ourselves, we identify with System 2, the conscious, reasoning self that has beliefs, makes choices, and decides what to think about and what to do.
  • The main function of System 1 is to maintain and update a model of your personal world, which represents what is normal in it. (p.71)

하지만, 우리의 판단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다른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가장 중요한 비합리적인 판단 기제는 Loss Aversion이다. 이것은 똑같은 기대수익/기대손실에 대면했을때, 수익보다는 손실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을 말한다. 예를들어, 주사위를 던저 짝수가 나오면 100원을 잃고, 홀수가 나오면 100원을 얻는 도박이 있다고 가정하자. 아무도 이런 도박을 하지는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손실을 최소화하는 내재적인 경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진화과정에서 이러한 반응이 생긴 이유는, 기대 수익 보다는 기대손실이 개체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더 크기 때문이였을 수 있다. 

  • all of us live much of our life guided by the impressions of System 1— and we often do not know the source of these impressions.
  • When directly compared or weighted against each other, losses loom larger than gains. This asymmetry between the power of positive and negative expectations or experiences has an evolutionary history.
  • Organisms that treat threats as more urgent than opportunities have a better chance to survive and reproduce. (p. 282)
  • The concept of loss aversion is certainly the most significant contribution of psychology to behavioral economics. (p. 300)

재미있는 설명으로 overweighting이 있다. 즉, 우리는 낮은 확률의 작은 위험이나 큰 보상에 대해서 실제보다 크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설명이다. 어쩌면 이런 마음의 움직임이 모든 조직의 배후에 있는 조직화 원리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즉, 조직은 낮은 확률이 큰 보상을 통해 구성원들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낮은 확률의 큰 징벌로 전체적인 규율을 유지하는 것이 아닐까. 시범 사례로써의 당근과 채찍이 효과적인 이유라고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overestimate과 overweight 두 가지 오류 기제가 작동한다. 즉, 일부분의 사례에 대해서 실제보다 높은 확률을 적용하고, 이렇게 과도하게 책정된 확률에 대해서, 높은 가중치를 설정하는 오류이다.  

  • The combination of the certainty effect and possibility effects at the two ends of the probability scale is inevitably accompanied by inadequate sensitivity to intermediate probabilities. (p. 315)
  • The evidence suggests the hypothesis that focal attention and salience contribute to both the overestimation of unlikely events and the overweighting of unlikely outcomes. Salience is enhanced by mere mention of an event, by its vividness, and by the format in which probability is described. (p. 331)
  • Obsessive concerns (the bus in Jerusalem), vivid images (the roses), concrete representations (1 of 1,000), and explicit reminders (as in choice from description) all contribute to overweighting. And when there is no overweighting, there will be neglect. (p. 333)

그 외에도 고통의 기간은 중요하지 않고, 고통의 최대 강도와 종료 시점의 고통을 가중 평균하여 전체적인 경험에 대한 인상이 결정된다는 Peak-end rule도 무척이나 흥미로운 이야기이다. 

  • Peak-end rule: The global retrospective rating was well predicted by the average of the level of pain reported at the worst moment of the experience and at its end. Duration neglect: The duration of the procedure had no effect whatsoever on the ratings of total pain.

우리가 현실을 이해하는 것은 기억을 통한 이야기의 재구축이다. 이야기를 구성하는데 중요한 것은 고정된 특정한 시점이다. 경험의 상태는 Duration neglect로 인해 사후 기억에 있어서 고려되지 않는다. 관관객들이 경험을 추구하기 보다 사진을 열심히 찍는 것은, 기억하기 위한 이벤트를 만들려는 노력으로 볼 수 있다. 때로 이러한 사건 위주의 사고방식은 ‘경험하는’자아의 불만족 상태로 진행 될 수 있다.    

  • Attention is key. Our emotional state is largely determined by what we attend to, and we are normally focused on our current activity and immediate environment. There are exceptions, where the quality of subjective experience is dominated by recurrent thoughts rather than by the events of the moment. When happily in love, we may feel joy even when caught in traffic, and if grieving, we may remain depressed when watching a funny movie. In normal circumstances, however, we draw pleasure and pain from what is happening at the moment, if we attend to it. (pp. 394-395)

System 1의 특징으로 인한 오류는 스스로 찾아내기 힘들다. 우리는 늘 System 1을 기본으로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잘못된 판단을 내리는 경향에 대해서 아는 것과 그 잘못을 수정하는 것은 다른 일이다. 

  • The way to block errors that originate in System 1 is simple in principle: recognize the signs that you are in a cognitive minefield, slow down, and ask for reinforcement from System 2.(p. 417)

‘생각에 관한 생각' 이라는 제목으로 한글 번역이 되어있지만, 번역본은 읽다가 포기하고 말았다. 읽다보면 무엇을 읽고 있는지, 산으로 가버리는 번역. 그 후에 재번역 되어서 나온 뒤에는 번역이 나아졌다는 평은 있다.  


'Lectura'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Have or To Be  (0) 2018.07.30
Seveneves  (0) 2018.07.18
The Big Picture: On the Origines of Life, Meaning, and the Universe Itself  (0) 2018.05.13
Someplace to be Flying  (0) 2018.05.11
기적을 이룬 나라, 기쁨을 잃은 나라  (0) 2018.04.30
Posted by 중년하플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