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세계사'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9.01.14 돈후앙의 가르침

돈후앙의 가르침

2019. 1. 14. 17:08 from Lectura



- 2017.8.28, 2019.1.14, 카를로스 카스타네다 지음/김상훈 옮김

이 책은 두 번을 읽었다. 첫번째 읽은 것은 2017년, 그리고 나서 최근 다시 읽었다. 처음 읽고 나서는 뭔가 중요한 이야기를 들은듯 한데 감상을 정리할 수가 없었다. 그 이후 몇 종류의 책을 더 읽었는데, 이 책들이 두 번째 독서를 정리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각각 ‘Acid Dreams: The Complete Social History of LSD’와 ‘How emotions are made: The Secret life of the Brain’, 그리고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이다. 

일반적인 상태에서 우리는 외부 세계와 뇌를 통해 경험되는 내부 세계를 각각 분리된 실체로 인식한다. 외부 세계는 나와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며 나의 상태나 인식과는 전혀 관련이 없고, 내부 세계는 내가 온전하게 통제권을 가지고 있는 전혀 별개의 체계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원론은 서구 사상의 기반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의심하거나 다른 체계를 생각하기가 무척이나 어렵다. 때문에 외부의 실체가 우리의 의지에 의해 변화하고, 우리 인식이 특별한 상태가 되면 외부 실체가 전혀 다르게 느껴진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자연스럽게 허황되거나 환각에 빠진 것으로 생각한다.

LSD를 섭취하고 주관적인 현실이 변화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미 70년대에 많은 사람들이 증언을 하였다. 감각의 왜곡 및 변이, ‘나'라는 주체가 사라지고 무한한 사랑을 느끼는 등… 세계를 바라보는 인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생기고, 이런 변화가 삶의 나머지 과정에서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다. 이와 같은 이원론이 적용되기 힘든 경험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증언 하였지만, 이것을 과학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는 70년대 이후 중단되었다. 새로운 해석은 뇌과학의 발달에서 비롯되었다. 새로운 이론에 따르면 외부 지각에 대응해서 세계에 대한 내부모델을 만들고 이를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것이 뇌의 주요 활동이다. 우리의 뇌는 지속적으로 외부 세계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고, 이를 실제 지각자극과 비교한다. 그렇지만 어떤 경우에도 외부의 지각자극을  뇌가 ‘직접’ 경험하지 않는다. 뇌는 세계에 대한 내부모델을 통해서만 외부를 인식한다.  

  • -Simulations are your brain’s guesses of what’s happening in the world. In every waking moment, you’re faced with ambiguous, noisy information from your eyes, ears, nose, and other sensory organs. Your brain uses your past experiences to construct a hypothesis — the simulation — and compares it to the cacophony arriving from your senses. In this manner, simulation lets your brain impose meaning on the noise, selecting what’s relevant and ignoring the rest.   - How Emotions are Made

이런 경우 약물이나 훈련을 통해서 뇌의 ‘내부모델’을 수정하거나, 외부 자극을 해석없이 직접 접하게 되면 LSD를 통해서 겪는 많은 경험이 설명이 된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우리가 가지고 있는 ‘내부모델’이 유일한 모델이 아닌 가능한 모델 중 하나라고 가정해 보자. 사람은 까마귀가 될 수 없고, 하늘을 날 수 없다는 것은 상식이지만, 만일 이런 제약이 우리의 ‘내부모델’ 때문이라면? 다른 ‘내부모델’이나 혹은 ‘내부모델’을 통해서가 아니라, 직접 현실을 마주치면 이러한 제약이 없는 다른 ‘외부’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면 어떨까?

이 책은 이와 같은 ‘대체현실’을 묘사하고, 저자는 이를 ‘비일상적 현실 상태’라고 명명한다. 

  • -'우리는 다른 세계들을 경험함으로써 스스로의 세계를 있는 그대로 보게 되고, 그 결과 우리들 자신의 문화적 구조물과 다른 구조물들 사이에 존재하는 진정한 세계가 실제로는 어떤 것인지를 불완전하게나마 언뜻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돈후앙의 가르침

‘비일상적 현실 상태’는 흔히 말하는 ‘향정신성 약물’의 섭취를 통해 가능해진다. 그것은 메스칼리토, 악마초, 특정한 종류의 버섯 등이다. 저자는 멕시코 야키 인디언을 만나 샤면이 경험하는 ‘비일상적 현실 상태'에 대해서 정리한 것이다. 이 세계에서는 식물이 사람과 같은 모습으로 등장하고, 사람이 하늘을 날며, 악의를 품은 주술사가 내가 아는 사람으로 변신을 해서 해꼬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비일상적 현실 상태는 우리가 지각하는 현실과는 다르지만, 내재적인 완결성을 갖고 있다. 이것을 미개한 인디언 주술사들이 만든 체계라고 해서 단순한 환각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

근본주의 유대교에는 에루브(Eruv) 라는 개념이 있다. 성경에서 안식일을 지키라는 율법이 있는 반면 현대 사회에서는 안식일엔도 집밖에 나가서 일을 봐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선과 막대 등을 이용하여 가상의 벽과 문을 만들고 이를 실내로 간주하는 것이다. 에루브는 이를 위한 전반적인 체계를 의미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가상의 집들은 끊임없이 관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 일만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들도 있다.

샤머니즘은 단순히 과학이 발전하기 전 미개한 단계의 문명에만 나타나는 아무런 가치가 없는 현상일까? 주술사란 이상한 주문이나 외우고 춤을 추며 환각성 약초를 사용하는, 현실에서는 아무런 도움도 되지 못하는 과거의 약물 중독자 같은 존재였을까?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에루브와 과거 문명의 샤머니즘은 얼마나 큰 차이가 있을까?

‘비일상적 현실 상태’의 진위 여부와는 관계없이 돈후앙이 전하는 삶의 지혜는 충분히 귀기울일 가치가 있다.

  • - 두려움은 전혀 나쁜게 아니라네. 두려우면 사물을 다른 방식으로 보게 되니까 말이야.
  • - 난 누구한테든 화를 내거나 하진 않나! 그 어떤 인간도 내 화를 돋울 만큼 중요한 일을 할 수는 없어. 누구한테 화를 낸다는 건 상대방의 행위가 중요하다고 느낄 때나 가능한 일이지. 난 더 이상 그런 식으로 느끼지 않아.
  • - 자, 그게 뭔지 얘기해주겠네. 그 길에는 마음이 깃들어 있는가? 이거야. 모든 길은 똑같다네. 어디로도 통해 있지 않지. 덤불을 헤치고 나아가는 길이든, 덤불로 들어가는 길이든 그게 그거야. 나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기나긴 길을 걸어왔다고 말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내가 지금 어디에 와 있는 건 아냐.


Posted by 중년하플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