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측1 The signal and the noise - 2014.1, Nate Silver 이 책에 따르면 예측이란 과학과 망상을 구별할 수 있는 중요한 툴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현실이 얼마만큼 실제와 가까운가 라는 질문은 바로 예측의 정확도를 통해서 검증할 수 있다. 이렇게 예측을 통해서 이론의 정합성을 검토받는 것이 바로 과학의 핵심적인 방법론인바. 예측이란 과학적인 사고방식의 요체라고 할 수도 있겠다. 예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하다. 1. 예측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모방하는 모델을 만든다2. 이 모델을 과거 데이터를 통해 검증/조정한다.3. 모델을 개선한다. 이때 과거의 데이터를 통해 검증/조정 하는 과정에서 signal과 noise의 문제가 발생한다. 노이즈를 포함한 모든 과거 데이터와 일치하는 복잡한 모델을 만들면.. 2014. 1.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