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파트2

세습 중산층 사회 2020.12 조귀동 지음 한 문장으로 정리하면, 386세대가 사회의 기득권이 되면서 그 자녀 세대에 계층분화가 일어난다는 주장이다. 핵심요약 386세대(현재 50대 60년대생)의 생애과정은 우리나라 대기업의 성장과정과 궤를 같이함 그들이 취업시장에 들어오던 80년대부터 우리나라 경제는 중화학 공업화와 대기업의 성장/고도화를 동시에 겪으면서 취업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함(그 전 세대의 대졸자 취업율은 50%에 머물렀음) IMF는 이들에게 오히려 기회가 되었는데, 그 당시 차부장이였던 50년대생들이 구조조정을 당해 만들어진 자리를 차지하면서 조직에서 상층으로 올라감 386세대의 자식세대는 중산층 부모를 둔 G세대(Global)와 N포세대로 나뉨 초임 기준 월 300만원 이상을 지급하는 직장은 2017년 기준 .. 2020. 12. 23.
콘크리트 유토피아 - 2013.9, 박해천 지음 오늘날 우리사회 많은 문제의 원인이 된 아파트에 대해서, 그 시작부터 더듬어보는 '아파트 역사서' 랄까? 논문 형태로 쓴 글들을 다시 소설 형태로 재창조한 방식이 독특하다. 각각 '픽션' 과 '팩트' 라는 대주제로 정리했는데, 일단 '팩트' 부분에 들어간 내용들은 건조하게 과거 아파트와 관련된 다양한 내용들을 분석하고 있다. '픽션' 부분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다. 1. 시선의 모험 2. 아파트의 자서전 3. 영웅시대: 어느 강남 1세대의 회고담 4. 화양연화: 꽃무늬 이야기 미학적인 견지에서 아파트가 계승한 관점. 한국에 들어온 아파트의 역사. 아파트, 특히 강남의 아파트와 함께 삶을 살아온 가상적인 어느 중산층의 이야기. 마지막으로 아파트라는 공간을.. 2013. 10.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