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예측2 Empty Planet 2020.8, Darrell Bricker and John Ibbitson 세상에 대한 우리의 예측은 벗어나는 경우가 많다. 변화란 선형적이지 않고 지수함수적이라는 것이 레이 커즈와일의 주장이다. UN은 현재 70억명인 세계인구가 이번 세기말까지 110억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미래에 대한 많은 암울한 전망은 이런 인구폭발 현상에 기반하고 있다. 현재 인구로도 지구는 많은 문제를 겪고 있는데, 여기서 더 늘어난다면 얼마나 지옥 같은 세상이 펼쳐지겠는가? 이 책은 UN의 인구 예측이 과거 추세에 기반해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오히려 지금 세계 각국은 출생률 감소를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근거는 다음과 같다. 인구예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출생률과 평균수명이다. UN.. 2020. 8. 30. 통신산업의 미래 Telco라고 불리우는 통신산업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갑자기 흥미로운 질문이 생겨 인터넷을 잠깐 뒤져보았다. 일단 쓸만해보이는 보고서는 딜로이트와 PwC에서 만든 아래 두개. PwC는 'BaseLink'와 'DigiLife'라는 가상의 통신회사를 예로들면서 통신산업의 미래를 예측한다. BaseLink는 쉽게 말해 기존 통신산업의 강점을 그대로 가져가는 모델이다. SDN 기술기반으로 다양한 형태의 통신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형태의 네트워크 제공자. DigiLife는 전통적인 통신 모델에서 벗어나서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중심의 기업. 딜로이트의 분석은 두개 축을 기준으로 이뤄진다. 통신망에 대한 기술 주도권과 고객에 대한 주도권. 이를 바탕으로 4분면을 만들어서 각각 'The e.. 2019. 1. 8. 이전 1 다음